원희목 "K제약 글로벌 도약대에···정부 과감한 투자 필요"
원희목 "K제약 글로벌 도약대에···정부 과감한 투자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원희목 회장이 온라인으로 2022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목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온라인 기자간담회 캡처)
24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원희목 회장이 온라인으로 2022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목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온라인 기자간담회 캡처)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민간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를 높이고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가속화하면서 제약바이오 강국의 꿈을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다. 더불어 정부에는 도전 지향적인 산업 지형이 필요하다며 과감한 투자를 요청했다.  

24일 원 회장은 온라인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그간 역량을 강화하고 에너지를 축적해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날아오를 도약대에 섰다"며 "올해 국산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출시, 블록버스터 신약 창출 기반 구축 도전과 혁신을 멈추지 않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어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제약바이오강국으로 힘차게 치고나가기 위해선 강력하고도 단단한 추진 동력이 절실하다. 정부 육성·지원을 도약 발판으로 삼아 제약주권을 탄탄하게 지키고, 글로벌 제약바이오강국의 꿈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해선 기술 수출은 물론 신약 최종 개발까지 스펙트럼을 확장하는 새로운 방향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 간 컨소시엄과 후기 임상에 정부의 R&D 투자를 집중시키는 전략을 통해 민간 R&D 투자 규모를 현재 10.7%에서 2025년 15~16% 수준까지 높이겠다고 했다.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제약사들 신약 파이프라인(개발 제품군)은 2018년 573개에서 2021년 1477개로 3년만에 2.6배로 확대됐다. R&D 강화 기조가 확산하면서다.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구개발 비용 비중은 10.7%로, 제조업의 4배가 넘는 수준이다.

원 회장은 산업계의 혁신 성장을 도모하는 개방형 혁신 확산을 위해 파이프라인 공유 플랫폼인 드러그 디스커버리(Drug Discovery) 라이브러리 컨소시엄 구축도 추진한다. 연구기관과 제약기업, 중소기업과 대기업, 국내기업과 글로벌 기업처럼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경.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서울 서초구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경.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그는 내수에서 벗어나 글로벌 무대로 사업 영역을 넓히는 데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선진시장 중 미국은 바이오 혁신 생태계로 꼽히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캠브리지이노베이션센터(CIC)를 거점으로 활용하고, CIC 참여 기업을 기존 4개사에서 12개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신흥시장에선 현지 수요 대응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원 회장은 다만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면 산업계의 노력이 무모한 도전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셀트리온이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와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시험을 민·관 협력 성공 사례로 들면서도 정부의 지원 범위와 규모가 선진국과 비교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협회에 따르면 정부 부처의 올해 연구개발 예산 15조7000억원 중 바이오 분야는 11.4%에 불과한 1조8000억원으로, 미국과 벨기에 같은 의약 선진국에 미치지 못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국가 R&D 예산 총액의 23%를 신약 개발에 집행하며, 벨기에는 제약바이오 산업에 국가 R&D 예산 40%를 투자한다. 

원 회장은 특히 지난 10년간 보건의료분야 연구개발 투자가 늘었지만, 임상시험 진입부터 실질적인 제품화 단계까지를 의미하는 응용 연구에 대한 투자 비중은 감소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원 회장은 "산업계가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에 힘쓰는 동안 정부는 임상 3상 후보물질을 선정해 후기임상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정부에 백신 및 제약 주권 확립을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우리 기업의 자체 백신 개발을 동반하지 않는 백신 허브 구축은 위탁생산 기지화에 불과하다"며 1조원대 백신 바이오 펀드 조기 조성과 백신 가격 현실화를 요구했다. 

원 회장은 일관성 있는 집중 지원을 위해선 대통령 직속 보건산업 육성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규제가 다부처로 분산돼 있어 효율성이 저하되고, 기초연구·임상시험·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관리 주체도 없기 때문이다. 이견 발생 시 부처 간 칸막이 현상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그는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을 포괄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각 부처 정책을 총괄, 효과적으로 조율하는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