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톡톡] '금융허브' 전략 부재···외국계 은행 이탈 가속화?
[뉴스톡톡] '금융허브' 전략 부재···외국계 은행 이탈 가속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씨티·뉴욕멜론·노바스코셔 등 지점 폐쇄 및 기능 축소
23일 오후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금융중심지 주제로 열린 2020 서울파이낸스 포럼의 토론 세션 모습. (사진=김무종 기자)
지난 2020년 7월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2020 서울파이낸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금융중심지(금융허브) 발전 및 차별화 전략' 주제의 토론 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한국씨티은행의 소비자금융 철수 발표 전후로 외국계 금융기관의 한국 지점 폐지 및 기능축소가 잇따르자 정부와 금융당국의 금융허브 전략 부재에 따른 당연한 귀결이란 진단이 나오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이자 글로벌 수탁은행인 뉴욕멜론은행이 한국 사업을 대폭 줄인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제22차 위원회를 열고 뉴욕멜론은행 서울지점의 금융투자업 폐지를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멜론은행은 미국, 유럽,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 35개 국가에 진출해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본부는 홍콩에 두고 1988년 서울 지점을 설립해 일반 자금 및 사업자금 대출 영업 등을 해왔다.

뉴욕멜론은행 서울 지점의 신탁 업무가 폐지됐으나 기업 수신 기능은 남아 있어 기능 축소는 불가피하다.

앞서 캐나다 3위 은행인 노바스코셔은행도 지난 10월 서울 지점을 폐쇄했다. 1978년 서울 지점 설치 후 기업금융 중심으로 영업해왔으나 본사의 글로벌 전략 재편으로 한국에서 발을 빼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계 한국씨티은행이 지난 10월 소비자금융 사업 부문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발표하는 등 앞으로도 외국계 금융사들의 한국 탈출이 더 이어질 지에 주목된다.

한 금융 전문가는 "우리 정부는 2003년부터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을 추진했으나 문 정부에서는 유명무실한 상황으로 정책 어디서 살펴보기 힘들다"며 "최근 외국계 금융사들의 사업 축소나 이탈 조짐이 있는 만큼 원인을 분석해 금융허브의 사실상 포기 전략보다는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금융이 할 역할을 찾아야 금융권이 서민 대상의 이자 차익 중심으로 움직이는 약탈적 금융과 가계대출 리스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20년 서울파이낸스 주최로 열린 금융허브 주제의 2020 서울파이낸스 포럼에서도 전문가들은 정부의 까다로운 규제와 노동 시장의 유연성 부재 등을 지적하고 "국경을 넘는 핀테크 전략 등으로 금융허브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불씨를 살려야 하고 위안화 거래 등 한국의 전략적 입지를 충분히 살려야 한다"며 다양한 아이디어와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