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1.4조 투입해 11.6억톤 CO₂ 국내 저장소 확보
정부, 2030년까지 1.4조 투입해 11.6억톤 CO₂ 국내 저장소 확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CO₂ 저장소 유망구조·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 개최
유망구조·잠재지층에 9.3억톤 저장···기술개발로 저장효율 25% 추가
동해가스전 생산시설 (사진=SK이노베이션)
동해가스전 생산시설 (사진=SK이노베이션)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총 1조4000억원을 투입해 최대 11억6000만톤 규모의 지중(땅 속) 이산화탄소(CO₂) 저장소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3일 '한국 CO₂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국내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 구조와 저장 가능 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질자원연구원, 석유공사, 해양과학기술원, 공주대, SK이노베이션 등 20여명이 참여한 정부 합동 연구단이 자료 분석과 평가 등을 진행했다.

연구단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술성과 사업추진 여건을 고려해 종합평가한 결과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유망 구조는 약 7억3000만톤 규모라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 2015년 지질과학공동학술대회(특별세션)에서 공개됐던 6억톤(추정)보다 1억3000만톤 상회하는 결과다.

서해 군산분지 내 5억4000만톤, 동해 울릉분지 내 1억9300만톤 등이 유망 구조로 조사됐다.

여기에 잠재지층(퇴적 지분 내 저장에 적합한 지질특성을 갖고 있는 저장소 후보지층) 86억톤 중 울릉분지 사면저장소(2억톤), 제주동편저장소(8억톤) 등 유망 구조 수준의 저장소 2억톤을 추가하면 저장 용량이 9억3000만톤으로 늘어난다.

이 경우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요구하는 연 3000만톤 규모(30년분)의 국내 CO₂ 저장이 가능해진다.

또 기술 개발을 통해 저장효율을 현재의 약 2.5%에서 3% 수준으로 높이면(25%) 2억3000만톤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어 국내 저장규모는 연 3870만톤(최대 11억7000만톤)으로 늘어난다.

이를 위해 정부는 1억2000만톤급 대규모 저장소를 조기 확보(~2023년) 하는데 280억원, 6억톤 이상의 대규모 저장소 확보(2024년~2030년)에 3500억원, 국내 대륙붕 신규 저장소 탐사사업(2023년~2028년)에 300억원 등 총 408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CCS 저장 기술 완성·효율 혁신 등 기술개발에는 총 1조90억원을 투자한다. 

최근 석유공사와 SK이노베이션이 체결한 '동해가스전 활용 CCS 실증사업'에 약 9500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2025년부터 연간 40만톤씩 30년간 총 12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계획이다. 이 외 저장운영 기술·저장 효율 혁신 기술개발과 모니터링 기술·비(非)플랫폼형태 저장기술개발에 각각 295억원씩 들어간다.

EU·호주·중동·동남아·북미 등 5대 국제공동 CCS 프로젝트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도 120억원이 쓰인다.

강경성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CCS 기술 조기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가 협력해 저장소 확보, 기술개발, 국제협력 등에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30년까지 최대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도 CCS 기술 개발과 저장소 조기 확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말했다.

국내 CO₂ 저장소 유망구조 분포도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국내 CO₂ 저장소 유망구조 분포도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