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보험사,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 맞춰 새 전략 필요"
보험연구원 "보험사,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 맞춰 새 전략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통화당국, 금융불균형 완화···보험사 자금운용 영향
"보험사, 운용자산 신용리스크↓···장기 국공채 비중↑"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서울파이낸스 유은실 기자] 국내 보험회사들은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 흐름에 맞춰 자산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최근 금융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가계 대출 총량 관리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정상화 움직임이 보험회사의 자금흐름과 자산리스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13일 보험연구원은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과 보험산업' 보고서를 통해 금융당국과 한은의 금융 불균형 완화 정책으로 인한 금융환경 변화를 전망, 보험산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금융불균형은 통상 경제주체들의 위험선호 강화에 따른 과도한 레버리지 확대와 자산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현 수준의 금융불균형은 실물경제 충격이 있더라도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금융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경우 경제성장과 금융안정이 저해될 수 있어 금융당국과 중앙은행의 완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요 자산 가격이 모두 급등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례없던 유동성 공급 정책으로 금융안정성은 높아진 반면 금융불균형은 심화됐다. 민간신용도 빠르게 올라 명목GDP 대비 210% 규모로 역대 최고 수준을, 소비자물가·수출도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연간 증가율 목표치를 6%로 잡고 전방위 관리에 들어갔다. 한은도 올해 들어 시장에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을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다. 내년까지 금융불균형 완화에 비중을 두고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보험연구원은 이러한 금융불균형 완화 정책으로 경제주체의 수익률 추구 현상은 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유동성 증가율과 자금 단기화 현상은 완화되고 위험자산 하방리스크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고채 장단기 금리차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더라도 국고채 10년물 금리 상승폭은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조 연구위원은 "유동성 증가율은 둔화되는 반면 예비적 수요의 단기 자금 중 일부는 장기 자금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며 "위험자산 선호 하락으로 인한 회사채 금리 상승으로 신용스프레드가 확대되고, 금리 상승으로 인한 대출 연체율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렇게 금융불균형 완화정책으로 금융환경이 변하면 보험사의 자금흐름과 자산의 가격 및 리스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춰 보험회사는 저축성 및 투자성 보험의 수요, 자산운용 및 자본관리 측면에서 대응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보험연구원은 저축성보험 수요는 변화가 미미한 반면 변액보험 수요는 감소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대출 제약에 의해 해지율이 상승할 가능성도 있어 가계 대출의 경우 신용대출의 리스크를, 기업 대출의 경우 취약기업의 상환 능력을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보험사들이 기대수익률 제고를 위해 최근 수년간 확대했던 운용자산의 신용리스크는 축소시키고, 장기 국공채 비중은 확대해 나아갈 시기로 봤다. 아울러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응해 해외 대체투자에 대한 리스크도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영현 연구위원은 "금리 상승에 의해 RBC비율 하락이 예상된다"며 "자본성 증권 발행으로 지급여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는 회사는 신속하게 발행을 추진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