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 "'기체결함 연착' 불가항력적 원인일 경우 항공사 배상 책임無"
法 "'기체결함 연착' 불가항력적 원인일 경우 항공사 배상 책임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륙 전 부품 결함 발견·제품 공수···21시간 연착
사측 "승객 피해 최소화·후속 조치 노력 최선"
(사진=대한항공)
(사진=대한항공)

[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항공사가 비행 전 정비점검 및 후속 조치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기체 결함이 발생해 운항이 지연된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46단독 박강민 판사는 최근 A씨 등 승객 72명이 대한항공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A씨 등은 2018년 10월 19일 오후 7시 40분(현지시간)께 독일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을 출발해 다음 날 낮 12시 55분 인천 국제공항에 도착하는 대한항공 항공편을 이용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륙 30분 전 대한항공 정비팀이 여객기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조종석 창문 온도를 조절하는 전자장치(WHCU)에 결함을 발견하면서 출발시간이 지연됐다. 대한항공은 현지 WHCU 재고가 있는지 수소문했지만 구하지 못했고, 결국 국내(인천)에서 WHCU를 독일로 긴급 공수해 정비를 마쳤다. 때문에 해당 항공편은 예정 도착시간보다 약 21시간30분 늦게 공항에 도착했다.

승객들은 "대한항공이 정비 의무를 다하지 않거나 제대로 대비하지 못해 연착됐다"며 1인당 90만원씩 총 6480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반면 대한항공은 "운항 지연이 제어·통제 등 조치가 불가능한 결함에서 비롯됐고 승객들의 손해를 피하고자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모든 조처를 했다"며 "배상 책임이 없다"고 맞섰다.

법원은 대한항공의 손을 들어줬다. 대한항공이 결함 수리를 위해 자체적으로 다양한 조치를 시도했고 대체품을 국내에서 긴급 공수했으며, 승객들에게 지연에 따른 숙박·식사·연결권 등 명목으로 8400만원의 지출을 한 점을 고려했을 때 후속 조치 역시 충분했다는 판단에서다.

재판부는 "이 사건 결함은 피고의 실질적인 통제를 벗어난 불가항력적인 사유에 기인한 것이고, 피고는 결함 발견 후 승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선의 조치를 모두 이행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운송인이 항공기 제작사가 제공한 정비안내서에 따라 정비를 했음에도 항공기에 결함이 발생했다면, 피고로서는 연착에 대한 책임을 면한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장치는 항공기 제조사 매뉴얼에 따른 정비대상으로 분류돼있지 않고, 평소 봉인돼있어 항공사가 아닌 제조사만이 내부를 열어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