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주' 삼성전자, 19년째 국내 기업 매출 1위
'대장주' 삼성전자, 19년째 국내 기업 매출 1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96~2019년 24년간 국내 1000대 기업 매출 분석
2018년 첫 1500조···1조 클럽' 2019년 209곳 '최다'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매출액 1위 자리를 19년째 수성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0대 기업 매출은 지난 2018년 처음으로 1500조원대에 진입했고,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은 2019년 209곳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 연구소는 '1996년~2019년 국내 1000대 기업 매출 외형 분석'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는 1000대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졌고, 매출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이다.   

결과에 따르면 1000대 기업의 매출 규모는 2019년 1508조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996년 390조원과 비교해 3.9배 급증한 셈이다. 이들 기업의 총 매출은 2008년 1196조원으로 처음 1000조원 시대를 연 뒤, 2010년 1328조원, 2011년 1418조원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후 2017년까지 7년 동안 '1400조원대의 벽'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2018년 전년 대비 3.1% 성장한 1537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갈아치웠다. 하지만 이듬해 1508조원으로 1.9% 뒷걸음했다. 지난해엔 코로나19 여파로 업종별 매출 변동 편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CXO
자료=CXO

다만 국내 상장사 실적에서 높은 비중을 점유한 삼성전자의 선전에 힘입어 선방할 것이란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2002년 처음 등극했던 매출 선두 자리를 2019년까지 단 한 번도 내주지 않았다. 지난해도 1위가 사실상 확실시 되면서 19년째 선두 수성을 지키게 됐다. 

삼성전자는 1996년만 해도 매출 15조8745억원에 불과하면서 삼성물산과 현대종합상사에 뒤졌지만, 6년 만인 2002년 39조8131억원의 매출을 기록, 삼성물산을 제치고 선두에 올랐다. 이후 2010년 112조원으로 첫 100조원을 넘어섰고, 2011년 120조, 2012년 141조 2013년 153조원으로 불어났다. 

이후 3년간 뒷걸음했지만, 2017년(161조원)과 2018년(170조원) 연이어 최고치를 경신했다. 2018년 기록한 매출액은 당시 300위~1000위에 오른 기업을 합산한 규모와 맞먹는 수준이다. 다만 2019년은 154조원으로 전년보다 9.4% 줄었다. 

1000대 기업 가운데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부터 3년간 각각 10.9%, 11.1%, 10.3%를 점유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를 포함한 상위 10곳의 비중은 30.8%, 31.5%, 30.3%로 30%를 웃돌아, 대기업 쏠림 현상이 심화한 양상을 보였다. 

1996년부터 2019년 사이 국내 1000대 기업 중 '매출 1조원'에 진입한 숫자가 가장 많았던 해는 지난 2019년으로, 209곳에 달했다. 1996년(69곳)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2019년 209곳의 매출 규모는 1273조원으로, 당시 1000대 기업 전체 매출에서 무려 84.4%를 차지했다.

2018년 대비 2019년에 매출 1조 클럽에 새로 가입한 기업 중에는 대웅제약과 종근당, 셀트리온헬스케어 등 제약 업종에서도 3곳이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에스엘, 파트론, 파워로직스 등도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매출 10조 원이 넘는 기업은 2017년에 37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35곳, 32곳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GS건설(2018년 11조7000억원→2019년 9조4000억원) △대우건설(10조2000억원→8조원) △롯데쇼핑(10조2000억원→9조6000억원) △롯데케미칼(10조1000억원→9조1000억원) 등 4곳은 2018년 10조 클럽에 들었지만 이듬해 탈락했다. 

반면 메리츠증권은 2018년 8조2000억원에서 2019년에 11조4000억원으로 매출이 불어나며, '10조 클럽'에 신규 진입했다.

오일선 소장은 "향후 대한민국 경제 부흥의 신(新)르네상스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4차 산업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산업들을 선도적으로 개척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실현하려면 기업의 기술 개발 노력 못지않게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규제 정비 마련도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