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고통지수' 가파른 상승 곡선"
"'생활경제 고통지수' 가파른 상승 곡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주미 기자]<nicezoom@seoulfn.com>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경제적 고통이 작년 10월부터 급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물가 상승률과 체감실업률을 더해서 구하는 이른바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지난해 10월 9.9에서 11월 10.8, 12월 11.0으로 급등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상반기 9.4를 기록했던 생활경제 고통지수는 3분기에는 이보다 낮은 9.2를 기록했으나 10월 이후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어서 걱정거리다.

생활경제 고통지수는 신용카드 사태 이후 급격한 내수 불황을 겪었던 2004년 11.6을 정점으로 2005년 11.0, 2006년 9.8 등으로 안정적인 하락세를 보이다가 최근 들어 다시 상승하고 있다.

연구원은 생활경제고통지수가 상승하는 이유로 생활물가 불안을 지목했다.
생활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월에는 1.9%, 상반기까지만 해도 3% 중반을 밑돌면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지만 10월부터 급등하기 시작해 연말에는 5%에 근접하는 수준으로까지 급등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전국 16개 광역자치구역 가운데 경제적 고통이 가장 높았던 도시는 서울(11.0)이었고, 광주(10.8)와 대전(10.5)이 뒤를 이었다.

서울지역의 경제적 고통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체감실업률이 2003년 이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생활물가 상승률도 전국평균을 웃돌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전남(7.6)과 경북(7.8), 제주(8.6), 강원(8.7) 등은 상대적으로 생활경제 고통지수가 낮았다. 
 
다만, 지난해 체감실업률은 6.5%로 2006년의 6.7%에 비해 소폭 하락했다.
체감실업률이란 주당 근로시간 17시간 이하의 단시간 근로자를 실업자로 보고 기존 공식 실업자 수에 포함시켜 계산한 실업률이다.

체감실업률이 하락한 것은 공식 실업률이 3.5%에서 3.2%로 하락했기 때문으로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여건은 그다지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은 "올해 우리 경제는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계경제 둔화와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증가세가 주춤하면서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김주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