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포용성장, 중소기업 지원이 해법이다
[전문가 기고] 포용성장, 중소기업 지원이 해법이다
  • 링 하이(Ling Hai) 마스터카드 아태지역 공동 대표
  • ljh@seoulfn.com
  • 승인 2020.12.18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링 하이(Ling Hai) 마스터카드 아태지역 공동 대표
링 하이(Ling Hai) 마스터카드 아태지역 공동 대표.

지난 수십년 간 많은 기업인과 정부의 정책 당국자들은 경제성장을 성공의 바로미터로 삼았다. 그 결과 인류는 눈부시게 발전했고 세계화와 혁신을 경험했다. 기회와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기술이 출현하며 수백만 명을 가난에서 구제했다. 

하지만 모두가 동등한 혜택을 누린 건 아니다. 은행 계좌나 인터넷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이 지금도 수십억 명에 달한다. 자동화는 수백만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여전히 기회나 부의 불평등은 일상에 존재한다.

기술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불가피하게 파생하는 문제점들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대응책을 내놓고 있기는 하나, 기업 입장에서 보기엔 여전히 미덥지 않을 뿐이다. 이에 기업은 정부가 이러한 문제들을 일시에 해결해 줄 것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스스로 포괄적이고 유용한 성장 모델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선 우선 사회적인 성공에 대한 개념부터 먼저 확장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야 말로 이들을 지원하는 지름길이다. 중소기업이 주요한 성장 동력이자 산업의 근간인 아시아에서는 특히 그렇다. 중소기업 성공과 그동안 소외되어 온 이들의 주류 경제 편입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 중소기업은 이들과 교류할 수 있는 접점에 위치해 있고 또 관련 지식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내는 것이 그리 간단치 않다. 민간 및 공공 부문에서 지금보다 더욱 많은 노력과 혁신 그리고 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우선 필요한 건, 금융 부문에서의 포괄적 지원이다. 은행 계좌가 없어 본국에 100달러 송금시 10달러를 수수료로 내야 하는 이주 노동자의 경우를 생각하면, 이들을 왜 도와야 하는 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금융지원은 단순히 금융 시스템에 소외층을 편입시켜, 이들의 금융비용을 절감하거나 보험료 또는 공과금을 쉽게 납부하는 것 이상을 뜻한다.

만약 중소기업이 사업자금 조달, 기술투자, 직원교육 등을 위해 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지 못한다면, 충분한 금융 지원은 반쪽짜리에 불과하다.

금융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선 디지털 및 금융 시스템에 소외 계층을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결제 기술이 필요하다. 낮은 수수료로 즉시 송금할 수 있는 실시간 이체 서비스나 금융 사각지대에 놓였던 소비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뱅킹 플랫폼 등이 대표적이다.

디지털 금융 생태계로의 확장은 금융의 포용성을 앞당기고, 자본에 대한 접근성도 높인다. 급여나 거래 등도 전산으로 처리돼 이러한 금융 기록은 디지털로 보관된다.

중소기업은 금융 데이터를 활용해 신용도를 공인 받을 수 있어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자를 강화하고 사업 내실을 다지면서 포용 성장의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최근 비전통적 방식으로 신용도를 평가 받던 중소기업을 위한 대체 금융 플랫폼 개발이 한창이다. 이런 혁신은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된다. 현재, 전 세계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격차는 약 5조 2천억 달러로 추산된다. 그 중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17년까지 인도, 미얀마, 스리랑카, 캄보디아, 라오스에선 국민의 90% 이상이 온라인으로 공과금을 납부하거나 쇼핑을 해본 경험이 없었다. 최근 모바일이 확산되며, 겨우 이 수치가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많은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사업운영을 장부에 수기로 기록하고 있다. 기술 도입으로 개선할 수 있지만 수작업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기업은 다른 국가의 기업과 교역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

디지털 부문에서의 포용성은 결국 경제성장에도 도움이 된다. 디지털 생태계가 확장되면 사회 구성원이 누릴 혜택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이 디지털화되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며, 전자상거래 환경을 개선한다면, 더 많은 임직원과 고객 그리고 지역사회가 디지털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민간과 공공 부문은 협업하며 디지털 통합 촉진을 위해 투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통화청과 정보통신개발청은 마스터카드 등의 기업들과 함께 중소기업의 디지털 공급망을 구축하고 국경간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경 없는 비즈니스' 이니셔티브를 발족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회사에서 받는 급여에 의존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급여엔 세금이 많아 투자 자본과 비교했을 때 비효율적이고, 생산적 기회를 추구함에 있어 유연하지 못하며, 인공지능 등에 따른 업무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더 이상 쓸모가 없어진 기술로 먹고 사는 노동자들은 재교육을 받지 않으면 더 큰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최근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2030년까지 최대 8억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고, 이런 경향은 화이트칼라나 개발도상국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고 나타났다. 한 예로 중국 동관 시 소재 기업들은 지난 5년 동안 91,000대의 로봇을 설치해 제조 인력 약 28만 명을 줄였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은 실직 근로자를 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 미국 켄터키 주에서 석탄 산업을 통해 성장한 사람들이 창업한 비트소스라는 스타트업이 광부를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재교육하고 있는 것이 좋은 사례다.

근로자들이 급변하는 세계 경제에서 스스로를 재교육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창의적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디지털화 및 혁신을 통해 자신은 물론, 디지털 생태계가 확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협력, 연구, 확장 가능한 기술 등을 선도할 큰 기업들의 역할도 필요하다.

즉각적인 대응을 위해 민간 및 공공 부문의 리더들이 포용적 성장의 우선순위를 수립해 나가야 할 때이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