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부동산 익스포저 '2100조'···"실물경제 뇌관 될라"
금융권 부동산 익스포저 '2100조'···"실물경제 뇌관 될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혜영 의원 "비은행 중심 증가···각별히 살펴야"
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저금리 유동성 과잉 속에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부동산 금융에 몰린 돈이 2천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집값이 급락하거나 금리가 상승하면 부실화해 실물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잔액은 2105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는 가계 및 부동산 관련 기업에 대한 여신과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에 투입된 자금을 통틀어 말한다.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는 2010년 879조7천억원으로 1천조원을 밑돌았지만, 이후 꾸준히 증가해 작년 2천62조4천억원으로 사상 처음 2천조원을 돌파했다.

올해 1∼3월 3개월 동안에는 작년 한 해 증가액(145조2천억원)의 30% 수준인 42조9천억원이 늘었다.

특히 규제가 강화된 가계 여신 비중은 줄어든 반면, 부동산 펀드·리츠(REITs) 등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1분기 기준 가계 여신은 1천95조1천억원(52.0%)으로 그 비중이 작년 대비 0.2%p 줄었지만, 금융투자상품은 245조2천억원(11.6%)으로 0.6%p 증가했다.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중 금융기관이 최종 리스크를 부담해야 하는 규모는 1천147조6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은 669조9천억원, 비은행권은 477조7천억원이었다.

상대적으로 관리·감독이 느슨한 비은행의 비중 증가가 두드러진다. 전체 금융기관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중 비은행의 비중은 2010년 30.0%였지만, 올해 1분기에는 41.6%까지 늘었다.

장 의원은 "부동산 금융은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거나 금리가 급상승하는 등 리스크 발생 시 실물 경제로 위험이 전이되는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당국은 비은행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에서 각별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