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축구장 4개가 쏙'···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를 만나다
[르포] '축구장 4개가 쏙'···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를 만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만4천TEU급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흑자 전환 골든카드
지난 11일 HMM가 경남 거제시 삼성중공업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12번 째 2만4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사진=HMM)
지난 11일 HMM가 경남 거제시 삼성중공업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12번 째 2만4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사진=HMM)

[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선박 길이는 400m, 높이는 아파트 15층, 갑판 면적은 축구장 4개를 만들고도 남아요."

장맛비가 억수같이 쏟아졌던 지난 11일 경남 거제시 삼성중공업 조선소. 이 곳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컨테이너선(이하 컨선) 'HMM(옛 현대상선)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호가 정박해 있었다.

HMM의 12번 째 컨선이자 삼성중공업으로부터 5번 째 중 마지막으로 건조 중인 2만4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상트페테르부르크호는 위 설명처럼 고개를 올려다봐도 한눈에 담기 어려울 정도로 거대했다. 종전 최대 컨선이었던 스위스 MSC사의 MIA호(2만3756TEU)보다 208개의 컨테이너선을 더 적재할 수 있는 크기였다.

내부로 들어서자 강한 열기가 뿜어올랐고 비인지 땀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로 옷이 흠뻑 젖었다. 그 속에서 수백명의 작업자들은 내달 11일 선박 인도 일정에 맞추기 위해 막바지 건조작업이 한창이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호의 엔진실. (사진=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의 엔진실에 위치한 메인엔진. (사진=HMM)

상트페테르부르크호의 심장부로 불리는 엔진룸에는 집채만한 엔진들이 천장으로 솟아있었고 '삐-' 거리는 시끄러운 작업소리가 이 공간을 가득 메웠다. 11기통의 엔진은 최대 22.5kts(41.7㎞/h)의 속력을 낸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장착된 스크러버(탈황장치)도 눈에 띄었다. 올해 1월부터 IMO 기준에 따라 관련 업계는 선박에서 나오는 연료유 황산화물 배출 기준을 3.5%에서 0.5% 이하로 낮춰야 한다.

HMM은 고유황유를 사용하면서 황산화물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스크러버를 장착키로 했다. 기관실에 장착된 황산화물(SOx) 스크러버 3개의 높이는 아파트 8층(20m) 정도였고, 메인 스크러버의 지름은 6.5m에 달했다. 해당 스크러버는 엔진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바닷물로 세정해 정화하는 장치로, 환경오염을 막기위해선 필수적이다.

이재곤 삼성중공업 파트장은 "향후 시장 상황에 대비해 액화천연가스(LNG) 연료탱커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LNG 추진선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고 설명했다.

HMM 상트페테르부크호에 설치된 스크러버(탈황장치). (사진=HMM)
HMM 상트페테르부크호에 설치된 스크러버(탈황장치). (사진=HMM)

기관실을 나와 곧 바로 꼭대기에 위치한 조타실로 향했다. 지상에서 브릿지(선박 조종 공간)로 가기 위해선 엘리베이터를 타고 6층 정도를 오르고 다시 빌딩의 7층 높이의 계단을 또 올라야 했다. 조타실에 도착하니 배의 전면부와 후면부 등 축구장 4배 크기에 달하는 선박을 한 눈에 볼 수 있었다. 남산타워 2개를 나란히 눕혀 실을 수 있는 크기로 세계 최대 규모의 컨선에 걸맞게 위용을 자랑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호에는 선원들의 안전과 환경을 위한 첨단기술도 탑재됐다. 특히 '오토파일럿'이 대표적인 기능으로 꼽을 수 있다. 이 파트장은 "위험한 지역에 진입한 경우 수동으로 선장이 직접 조타수에게 지시하나 기본적으로 목적지를 설정하면 배가 주변 장애물과 방향을 감지 후 스스로 운항할 수 있게 시스템이 적용됐다"고 말했다.

해당 선박에는 선장을 포함해 모두 23명의 선원이 탑승하며 거주구에는 원룸형식으로 취침을 위한 침대와 쇼파, 개인 작업실 등이 마련돼 있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호는 총 12주간 부산, 닝보, 상해 등 아시아 항만과 수에즈 운하를 거쳐 로테르담, 함부르크 등 유럽 주요 항만을 기항할 예정이다.

브릿지에서 바라본 선박. (사진=HMM)
브릿지에서 바라본 선박. (사진=HMM)

HMM이 이 같은 초대형 컨선을 택한 이유는 '규모의 경제' 실현키 위해서였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2만4000TEU 초대형 컨선은 현재 유럽항로 평균 선형인 1만5000TEU급 선박에 비해 최대 30%가량 운항비용이 절감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HMM이 올해 4월부터 세계 3대 해운동맹인 '디 얼라이언스(THE Alliance)' 정회원으로 활동할 수 있었던 것 또한 초대형 컨선을 선택한 덕분이었다. 

당초 해운업계에서는 HMM이 초대형 컨선에 주력하는 것에 대해 화물을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그러나 HMM은 우려를 기대로 바꿨다. 지금까지 총 9척의 선박이 운항 중인데 이 중 1호선 알헤시라스호를 시작으로 7호선까지 연이은 만선을 기록한 것이다. 현재 아시아 구간을 운항 중인 8, 9호선 또한 만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이다.

이로써 HMM은 올해 2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 1387억1600만원을 기록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015년 2분기 이후 21분기만이다. 

HMM 관계자는 "코로나19 악화에 따른 항로합리화 시행으로 컨테이너 적취량과 함께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으나 세계 최대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투입과 함께 화물비용 축소 등 원가 구조 개선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HMM은 지난 2018년 정부의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조선 3사와 약 3조15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선박 20척의 건조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2만4000TEU 초대형 선박은 현재까지 대우조선해양에서 7척, 삼성중공업에서 5척이 각각 건조됐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호이 마지막으로 내달 11일 인도될 예정이다. 

2021년에는 현대중공업으로부터 1만6000TEU급 8척을 인도받는다. 아울러 내년 기준 HMM의 1만TEU급 이상 초대형선 비율은 40%를 넘어설 전망이다.

HMM은 총 20척의 초대형 선박을 앞세워 흑자행진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