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바꾼 사무환경'···대기업 75% 유연근무 
'코로나가 바꾼 사무환경'···대기업 75% 유연근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재택, 비대면 등 형태 다변화···디지털화로 일자리 감소 우려"
(그래프=한국경제연구원)
(그래프=한국경제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유연근무제가 확산하는 등 기업 근무환경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코로나19 경험을 계기로 비대면, 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가 다양해지는 한편, 디지털화가 되면서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일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근로형태 및 노동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 국내 대기업 4곳 중 3곳은 코로나19에 대응해 유연근무제를 새로 도입하거나 확대했다고 밝혔다.

응답기업 중 29.2%는 유연근무제를 새로 도입했고 45.8%는 기존 제도를 보완, 확대했으며 10.0%는 도입을 검토 중이다. 도입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15.0%였다.

대기업이 활용하고 있는 유연근무제 형태별로 보면 재택·원격근무제(26.7%)가 가장 많았다. 이어 시차출퇴근제(19.0%), 탄력적 근로시간제(18.3%), 선택적 근로시간제(15.4%) 등 순이었다.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확대한 기업 중 56.7%는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의 51%는 코로나19 이후에도 계속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은 코로나가 노동시장에 몰고 온 변화로 비대면·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 다변화(39.1%)를 꼽았다. 이어 산업구조 디지털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25.1%), 평가·보상체계 개선(13.4%)을 들었다.

평가·보상체계에서 중요한 척도로는 개인·집단별 성과와 업적(35.2%), 담당업무 중요도와 책임정도(29.6%), 직무능력 향상(27.7%), 근속연수, 연령 등 연공서열(4.4%) 등으로 조사됐다. 한경연은 "호봉제보다는 성과급제가 확산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정부 정책 지원방안으로 유연근무제 관련 법 개선(33.7%)과 유연근무제 인프라 구축비 지원(26.8%), 신산업 일자리 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세제지원(14.1%) 등을 요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노동시장에서는 근로형태, 평가·보상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노사는 협력적 관계를 구축·강화하고, 국회와 정부는 탄력근로제 단위기간과 재량근로제 대상업무 확대 등 관련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서 6월 8일∼7월 6일에 했으며 120개사가 응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7.80%p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