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구 중 6가구 '자가 거주'···내집 마련에는 '평균 6.9년'
10가구 중 6가구 '자가 거주'···내집 마련에는 '평균 6.9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2019 주거실태조사' 발표
동탄2신도시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이진희 기자)
동탄2신도시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이진희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우리나라 10가구 중에서 6가구는 자기가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점유율이 60%에 달하는 건 13년 만에 처음이다. 생애 첫 집을 마련하는 데까진 평균 6.9년이 소요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월부터 전국 6만1170가구를 대상으로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기준 '자가'에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58.0%라고 1일 밝혔다. 이는 주거실태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최고치다. 

주거 점유 형태를 보면 자기가 소유한 집에 사는 비율이 58%, 보증금 있는 월세와 전세는 각각 19.7%와 15.1%로 조사돼 2014년 이후 임차가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은 전국 기준 5.4배로 전년(5.5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수도권 PIR은 6.8배, 광역시는 5.5배, 나머지 도 지역은 3.6배 순으로 조사됐다. 도 지역을 제외하면 모두 전년 대비 0.1배씩 떨어졌다.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 기간은 6.9년으로 전년(7.1년)보다 조금 짧아졌다. 주거 이동실태를 보면 전체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7년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자가 가구는 10.7년으로 임차가구(3.2년, 무상제외)에 비해 거주기간이 3배 이상 길었다. 주거 이동률도 현재 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가 전체의 36.4%이고, 자가 가구는 20.3%, 임차가구는 60.9%로 조사됐다.

내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주택보유의식)을 하고 있는 국민은 전체의 84.1%로 전년(82.5%)보다 증가했다.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나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주택보유 의식이 높았다. 집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는 '주거안정'이 89.7%로 많았고 '자산증식(7.1%)'과 '노후생활자금(3.3%)' 등 순이었다.

청년과 신혼부부, 고령층 등 특성가구의 주거실태는 엇갈렸다. 지난해 신혼부부 자가 점유율이 49.3%, 보유율은 52.8%에 그쳤다. 전세가구 비중이 31.6%로 일반가구(15.1%)보다 높았다.

신혼부부들은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으로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7.1%)'과 '전세자금 대출지원(28.0%)' 등 금융지원을 선택했다. 가족계획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여전히 주택마련 등 주거문제(37.6%) 등의 답변이 많았다.

대부분 1인 임차가구인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임차 형태인 전세가구 비중이 35.1%로 증가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과 지하·반지하·옥탑 거주 가구 비중도 각각 9%, 1.9%로 줄었다. 대부분 자가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가구의 경우 자가 점유율이 76.9%, 보유율은 78.8%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다.

정부는 '주거복지로드맵 2.0'을 토대로 무주택 서민과 청년·신혼부부 등이 안심하고 저렴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재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공공주택 21만가구를 공급해 재고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8%) 수준까지 오르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거복지로드맵과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한 결과 주거 수준이 상당 부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중이 일부 상승해 향후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