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항공·스마트폰·디스플레이 '타격'···1분기 실적 급감
코로나19에 항공·스마트폰·디스플레이 '타격'···1분기 실적 급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9개 산업 부문 중 17개 생산실적 악화···반도체는 상대적 선방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여객 수요가 급감해 2003년 이후 17년만에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23일 밝혔다. 한산한 인천공항. (사진=주진희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여객 수요가 급감해 2003년 이후 17년만에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산한 인천공항.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올해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항공·스마트폰·디스플레이 등 주요 업종 대기업들의 생산실적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실적은 곧 경영실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기업들의 2분기 실적 악화가 현실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생산능력과 생산실적을 공시하는 12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이들 기업의 평균 가동률은 81.4%로 지난해 1분기(85.2%)와 비교해 3.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1분기 기업들의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이 작년보다 악화했다는 의미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코로나19까지 확산하며 공장 가동을 중단하거나 생산(운송)량 조절에 나선 기업이 증가한 영향이다. 

특히 코로나로 인한 여행·출장 수요가 감소하며 항공운송 부문이 크게 타격을 받았다. 항공운송 부문의 생산실적(운항실적)은 작년보다 35.9% 감소해 전 산업군을 통틀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6.7%, 24.1% 줄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가 분석한 1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2억9490만대로 작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판매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줄었다.

또 생활용품의 생산실적이 21.5% 감소했고 기타설비(-14.9%), 건설기계(-13.9%), 타이어(-12.0%), 자동차부품(-10.5%), 비료(-10.0%) 등도 코로나 등의 여파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CEO스코어 분석 결과 항공운송을 비롯해 자동차·스마트폰 등 국내 10개 주력업종 29개 부문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개 부문의 생산실적이 작년보다 감소했다. 특히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등 8개 부문은 올해 1분기 생산능력 자체를 작년보다 줄였는데도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반도체 부문은 선방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집콕' 수요와 온라인 수업 증가 등으로 올해 1분기 반도체의 생산실적은 34.9%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문은 작년 1분기 1762억9900만개에서 올해 1분기 2774억5000만개로 생산능력을 57.4% 늘렸는데도 100%를 가동했다. SK하이닉스도 반도체 생산능력을 작년 대비 12.3% 늘렸으나 100% 생산목표를 달성했다. 

택배(25.8%)와 석유화학(14.4%), 제약 부문(10.3%) 역시 생산실적이 10% 이상 증가하며 코로나19가 호재로 작용했다.

기업별 생산실적을 보면 진에어가 작년보다 운항실적이 54.2% 급감해 감소율 1위에 올랐고 제주항공이 -46.8%로 2위를 기록하는 등 특히 저비용항공사(LCC)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이어 아시아나항공(-33.4%)과 대한항공(-32.7%), ㈜한화(산업기계, -37.1%), 두산중공업(원자력, -34.1%), LG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 -28.1%), LG전자(휴대폰, -27.5%), 두산인프라코어(건설기계, -27.4%) 등이 감소율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이에 비해 1분기 세메스의 반도체장비 부문은 생산실적이 116.8% 증가했고, 엘에스아이앤디(권선 부문, 105.7%), ㈜한화(방산, 102.1%), LG이노텍(광학솔루션, 92.2%), 현대일렉트릭(전기전자, 83.8%), 효성첨단소재(산업자재, 65.5%), 삼성전자(반도체, 57.4%) 등은 생산실적이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기업들의 1분기 생산실적은 2분기 경영실적을 예측해볼 수 있는 중요 지표"라며 "연초 코로나 팬데믹 여파가 항공·스마트폰·자동차 관련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