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윤석헌 사퇴說···최수현 전철밟나
'또' 윤석헌 사퇴說···최수현 전철밟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잇단 대형 금융사고 책임론···김오수 후임 거론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사진=서울파이낸스 DB)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금융개혁 호랑이'로 불린 대표적 개혁성향 금융경제학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의 사퇴설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외환파생상품 키코(KIKO) 보상 문제,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불완전 판매,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등 잇단 금융사고로 윤 원장의 거취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 금융권 일부에서는 임기 중 자진 사퇴한 최수현 전 금감원장과 윤 원장의 행보가 '판박이'처럼 똑같다는 얘기도 나온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 원장의 사퇴설은 벌써 3~4차례 되풀이되고 있다.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과 금융회사 종합검사, 금감원 예산안, 키코 재조사, 특별사법경찰(특사경) 운영방안 등을 놓고 번번이 마찰이 빚을 때마다 윤 원장의 사퇴설이 불거졌다.

두 기관이 몇 번이나 상반된 입장을 드러내고 대부분 윤 원장의 '판정패'로 갈등이 봉합(?)되는 수순이 반복되면서, 윤 원장이 같은 개혁성향 학자이자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전해진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당시 공정거래위원장)에게 힘든 심경을 수차례 토로했다는 말도 돌았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정통관료 출신인 최 전 위원장과 개혁적인 성향인 윤 원장의 불협화음은 예견된 일이었다"고 말했다.

금감원 안팎에선 윤 원장이 7월 이전 또는 가을 중 사퇴할 것이란 전망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온다. 최근 사퇴설이 다시 고개를 든 건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이 금감원장에 임명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여기에 임기 중 대형 금융사고들이 줄줄이 누적되고 있는 만큼, 윤 원장이 언젠가는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먼저 윤 원장의 역점 사업격인 키코 보상 문제는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의 분쟁 조정 수용을 은행권이 벌써 4번째 연장하면서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오는 6일 연장 시한이 다가오지만 은행들은 다시 시간 끌기에 들어갈 태세다. 감독당국이 번번이 체면을 구기는 것 뿐 아니라 영(令)도 서지 않는 사태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DLF·라임 사태는 금감원이 이상 징후를 수차례 감지했음에도 사실상 방치하다 금융사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뒷북제재'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감원은 올 초 DLF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어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에게 중징계를 내렸지만, 해당 은행과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

금융권에선 지난 2014년 중도 사퇴한 최 전 원장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쓴소리가 나온지 오래다. 최 전 원장 역시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과 엇박자 행보를 보인 가운데 주전산기 교체 문제로 촉발된 이른바 'KB 사태', 이에 따른 KB금융 최고경영자(CEO) 중징계, 동양그룹 사태, 모뉴엘 금융사기 등으로 타격을 입고 임기 3년을 채우지 못한 채 낙마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특히 청와대의 '시그널' 이후 금감원장 교체가 뒤따랐다"고 귀띔했다. 지난 3월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이 금감원을 대상으로 감찰을 진행한 것이 심상치 않다는 얘기다.

잇단 금융사고와 관련해 금감원 책임 여부를 들여다본다는 목적이었지만 민정수석실의 감찰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최 전 원장의 경우 청와대에서 경질설이 불거진 후 3개월 뒤 사의를 밝혔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