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자들, 41세부터 '富의 길'···부동산 투자로 돈 불려
국내 부자들, 41세부터 '富의 길'···부동산 투자로 돈 불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동산 자산 비중은 6년 만에 감소...자녀 증여 시기 평균 65.2세
표=하나금융경영연구소
표=하나금융경영연구소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국내 부자들은 평균 나이 41세를 기점으로 '부(富)의 길'로 들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금수저'보다 사업소득으로 부자가된 사람이 더 많았다. 이들은 주로 사업소득으로 시드머니(종잣돈)를 마련한 뒤 부동산 투자로 돈을 불렸다.

하나은행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일 이러한 내용의 '2020년 부자보고서(2020 Korean Wealth Report)'를 발표했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하나은행 PB(프라이빗뱅커) 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우선 국내 부자들은 평균 41세를 기점으로 시작한다. 이 시기는 부자가 되기 위한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시점이다.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1순위 수단은 사업소득이 32.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두 번째는 상속 및 증여(25.4%)였고, 이어 근로소득, 부동산투자 순이었다.

부자가 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추가적인 부를 축적한 1순위 수단도 사업소득(31.5%)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 다음은 부동산투자(25.3%)였다. 한편 근로소득(15.1%)은 부의 축적수단으로 응답률이 낮았는데 사업소득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부자들이 축적한 자산을 처분하는 수단은 노후준비 50%, 상속 25%, 증여 18%, 기부 3% 등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자산이 많을수록 노후준비보다 상속이나 증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더 많은 자산을 보유할수록 노후준비보다 후세대에 대한 상속 및 증여에 관심을 더 가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에는 세금절감 이슈로 사전증여가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인데 부자들이 자녀에게 증여하는 시기는 평균 65.2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 증여를 받는 자녀의 평균 나이는 34.9세였다.

최근 수년 동안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부자들의 보유 자산 중 부동산 자산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부자들의 부동산 자산 비중이 50.9%로 전년비 2.2%p 감소했다. 이는 2013년부터 부동산 자산 비중이 증가한 이후 6년만에 감소한 것이다. 부동산 규제 강화에 따른 부동산 가격 상승세 둔화와 다주택자들의 주택 매도, 절세를 위한 증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부자들의 보유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보면 상업용부동산이 4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거주목적주택, 투자목적주택, 토지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보면, 젊은 부자일수록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연령 부자일수록 상업용부동산 비중이 높았다. 

자산규모별로는 거액자산가일수록 상업용부동산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특히 총자산 100억원 이상 부자들의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13%에 불과한 반면 상업용부동산 비중은 55%에 달해 거액자산가일수록 고가의 대형 상업용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안성학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연령이나 자산규모 증가에 따른 부자들의 단계별 부동산 보유 형태는 투자목적주택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해 부를 축적한 후 노후준비를 위해 상업용부동산 비중을 늘려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