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코로나19 극복 '임금반납' 선한 취지 확산돼야
[기자수첩] 코로나19 극복 '임금반납' 선한 취지 확산돼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1997년 대한민국은 외환위기로 정리해고와 명예퇴직 등 많은 직장인이 거리로 내몰렸다. 당시 한국 경제는 세계 11위의 수출 대국, 국민 소득 1만달러 시대를 눈앞에 둔 아시아의 용이었지만 느닷없이 불어닥친 경제 위기로 위상은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우리 국민은 좌절하지 않았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금을 모으기 시작했다. 돌 반지부터 결혼반지까지 우리 국민은 나라를 살리기 위해 금을 내놓았다. 그렇게 모은 금은 약 230톤. 이 금은 국가부채 약 21억달러를 갚는 데 사용했다. 국민 힘으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 금융을 받은 세 나라(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중 가장 먼저 외환 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2020년 연초부터 시작한 전례 없는 감염병(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산으로 대한민국은 국가적 위기에 놓였다. 기업은 공장을 멈췄고 영세 상인들은 줄줄이 쓰러질 위기다. 이런 위기 속에서 기업은 물론 민간에서 감염병 극복을 위한 자발적 기부와 봉사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이를 두고 '제2 금 모으기 운동'이라고 일각은 의미를 부여했다. 국가적 위기 때마다 위기를 극복한 우리 국민의 저력이 다시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시작한 '임금 반납 운동'은 장·차관, 행정부의 고위 공무원으로 빠르게 확산하면서 지방자치단체장과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등 공기업 임원들도 속속 동참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겪는 고통을 함께 나누자는 취지다.

사실 정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공기업은 정부의 임금 반납 '관제(官製) 운동'에 발맞춰야 하는 부담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런 임금 반납 운동을 일반 직원들에게까지 강요한다는 목소리가 새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수력원자력이 전 직원에 자율 임금반납 실시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자율 아닌 자율이라는 것. 임금 반납 운동에 동참하지 않으면 혹시 인사고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지 직원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어쨌든 국가적 대위기 상황에서 소위 높으신 분들이 임금을 반납하며 국민 고통을 분담하겠다는 선한 취지에는 경의를 표한다. 그러나 일반 직원에 강요한 또는 눈치 주기식의 '급여반납 고통분담'은 어찌 보면 '있는 자의 횡포'로 비칠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및 정부부처, 공기업 임원들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자발적 임금 반납 운동이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닌 선한 취지 본연대로 확산하기 기대해본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