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레마에 빠진 러시아, 기준금리 6% '나홀로 동결'
딜레마에 빠진 러시아, 기준금리 6% '나홀로 동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리 인상·인하 요인 공존···루블화 가치 하락 vs 세계경기 둔화
러시아 중앙은행.(사진=연합뉴스)
러시아 중앙은행.(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러시아 중앙은행이 지난해 중반부터 이어지던 연쇄 인하 조치에 제동을 걸고 기준금리를 연 6%로 유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각국 중앙은행들이 줄줄이 금리인하를 통한 정책공조에 나서는 가운데 '나홀로 동결' 조치를 취한 배경이 주목된다. 

자국 통화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소비자물가 상승 위험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 전망 사이에서 균형을 취한 조치라는 분석이다.

20일(현지시간) 타스 등 국내외 통신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이날 보도문을 통해 "루블화 가치 하락은 일시적인 인플레 자극 요소이며 이 영향으로 올해 인플레율이 목표치(4%)를 넘어설 수 있다"면서 "하지만 국제경제 성장 속도 둔화와 불명확성 증대 등과 연관된 대내외 수요 변화(감소)는 인플레 억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3월 정세가 중앙은행 전망 기본 시나리오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다"면서 "이는 코로나19 확산과 국제유가의 급속한 하락 등과 연관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은행은 "향후 인플레율 목표치 4%를 기준으로 한 인플레율 변동 상황과 경제 성장 전망, 국내외 금융시장 반응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에 대한 추가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에선 최근 주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합의 실패로 인한 국제 유가 폭락,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한 국제 경제 성장 둔화 전망 등으로 루블화 환율이 폭등(가치 추락)하고 주가지수가 크게 떨어지는 등 금융시장이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이에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통한 시장 안정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었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이나 인하가 가져올 부정적 영향이 공존함으로써 어쩔수 없이 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 2월 초순 기준금리를 연 6%로 0.25%p 인하했다. 지난해 중반 이후 여섯번째 연이은 인하 조치로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경기에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인한 국제 소비 둔화는 러시아 통화당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위한 동기로 작용했다.

하지만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비OPEC 10개 주요 산유국이 지난 6일 추가 감산 합의에 실패한 이후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원유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러시아의 루블화 가치와 주가가 추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졌다.

루블화 가치 저하와 소비자물가 상승 조짐은 러시아 통화 당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할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다. 딜레마에 빠진 중앙은행이 결국 기준금리 유지 결정을 내린 것이다.

지난 18일 모스크바 증권거래소(외환시장 포함)에서 달러 대비 루블화 환율은 장중 한때 80.01루블까지 상승했다. 유로 대비 루블화 환율도 전장 대비 5.7% 오른 87.66루블을 기록했다.

루블/달러, 루블/유로 환율 모두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와 저유가로 러시아 경제가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던 2016년 2월 이후 최고치였다. 연초와 비교해 볼 때 이미 달러 대비 루블화 가치는 26%, 유로 대비 루블화 가치는 24% 추락했다. 루블/달러 환율이 조만간 97루블이나 100루블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