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실징후기업 210개사···中企서만 201곳
올해 부실징후기업 210개사···中企서만 201곳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은 처음 한 자릿수···'업황부진' 기계·장비제조업 '최다비중'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올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부실징후기업이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은 지속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평가를 통해 210개사(C등급 59개·D등급 151개)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10.5%(20개사) 증가한 수준이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들이 부실 가능성이 있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재무 위험성과 경영 부실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분류 등급은 △정상적인 영업이 가능한 A등급 △외부환경 악화 시 부실징후 가능성이 있는 B등급 △부실징후기업이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 △부실징후기업이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 등 총 네 단계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B등급으로 결정된 기업은 신속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고, C~D등급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에 들어가게 된다.

대기업의 부실징후 기업은 지난 2015년 54곳에서 이듬해 32곳으로 크게 감소한 후 2017년 25곳을 기록했다. 이후 주요 업종 구조조정 마무리 등에 따라 지난해 10곳으로 급락한 뒤, 올해 한 자릿수(9곳)로 줄었다.

반면 중소기업은 부실징후기업 수가 늘었다. 2015년 175곳에서 한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올해는 전년 대비 21개 급증, 201개사를 기록했다.

실적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세부평가대상 기업 수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영향이었다. 2015년 1934곳이던 세부평가대상 기업은 올해 2708곳으로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전반적인 업황 부진 등 여파로 기계 및 장비제조업이 전년보다 15개사 급증한 35개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부동산(19개사)과 자동차부품(17개사) 등도 소폭 증가했다.

반면 조선(3개사), 금속가공(17개사), 철강(8개사), 도매·상품중개(14개사) 등 업종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3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은행권이 2조4000억원으로 72.7%를 차지했다. 대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은 올 6월 말 기준 1조1000억원, 중소기업은 9월 말 2조2000억원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735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국내은행의 손실흡수 능력 등을 감안하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감원은 향후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서는 워크아웃·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정상화 및 부실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지만, 워크아웃 등 관리절차를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한다는 계획이다.

조성민 금감원 신용감독국장은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위기극복 및 경영정상화를 적극 지원토록 유도할 것"이라며 "기업의 조속한 경쟁력 회복을 위해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지원, 경영애로 상담 및 컨설팅 등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