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점검하고 로봇이 작업"···건설현장, '스마트 시스템' 도입 가속
"드론 점검하고 로봇이 작업"···건설현장, '스마트 시스템' 도입 가속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우건설의 드론관제시스템. (사진=대우건설)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구슬땀'이 마르지 않던 건설현장에서 '스마트 기술'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건설 숙련공이 했던 일에 다관절 산업용 로봇이 투입되는가 하면, 관리자의 눈길이 필요한 곳엔 드론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그간 건설업계의 스마트 기술 도입이 비교적 더뎠다는 점에서 건설사들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건설현장에 드론과 산업용 로봇, BIM(3차원 기반 건축물 설계 프로그램), 자동화기술 등이 도입되고 있다. 이 중 건설사들이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은 '드론'이다. 영상이나 사진을 통해 공정률을 파악하고,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곳의 안전을 점검하는 등 활용도가 높은 만큼 도입 속도도 빨라지고 있는 것.

대우건설은 국내 건설사 최초로 건설 산업용 원격 드론관제시스템(DW-CDS)을 구축했다. DW-CDS는 4G·5G 통신망을 이용해 자체 개발한 영상관제플랫폼인 CDS.Live로 영상을 전송, 최대 256개의 현장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우건설이 수행 중인 9개의 국내 현장, 2개의 해외 현장에 시범 적용되고 있는데, 2020년까지 전 현장으로 확대 적용될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향후 이 시스템을 건설 분야의 공정분석, 안전, 환경점검, 재해보상 등에도 활용키로 했다.

한화건설은 안전점검을 위해 드론을 띄웠다. 최근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제1공구 건설현장에 드론을 도입했으며, 투입된 드론은 작업자의 손길이 닿기 힘든 교량 상부공사 등에서 안전점검을 담당하고 있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현장에도 신기술 적용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각 현장마다 특성에 맞는 아이디어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공지능 산업용 로봇 현장 투입 모습. (사진= 현대건설)
인공지능 산업용 로봇 현장 투입 모습. (사진= 현대건설)

그간 건설현장에서 보기 힘들었던 로봇도 등장했다. 정밀 작업에서 한계점이 명확하다는 지적에 현대건설은 인공지능을 접목시킨 로봇을 선보였다. 

건설 숙련공이 하던 업무 패턴을 프로그래밍화해 기존의 다관절 로봇에 입력시킨 현대건설은 움직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단순·반복적인 업무 수행만 할 수 있었던 기존 산업용 로봇과 달리 로봇이 수행하는 특정한 작업을 소프트웨어 언어로 전환하는 방식을 통해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이 기술의 특징이다.

현대건설은 오는 2020년부터 다관절 산업용 로봇을 국내 건설현장에 시범 적용할 방침이다. 우선 드릴링, 페인트칠 등 단순한 작업이 가능한 현장에 투입한 후, 2022년부터는 용적과 자재 정리 등 보다 정확한 작업이 필요한 공정에도 적용한다.

설계분야에선 BIM의 적용이 돋보인다. 포스코건설은 설계도면을 2D에서 3D로 바꿔주는 BIM을 신규 건설현장에 적용 중이다. 사업주간사로 참여하고 있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에선 안산·시흥~여의도에 이르는 노선과 차량기지 전 구간에 BIM을 적용해 설계 오류, 설계 적정성 등을 검토했다. 

BIM으로 공사에 필요한 장비 운영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였다는 게 포스코건설의 설명이다.

아울러 시공 과정에서는 GPS를 활용하는 건설장비자동화시스템(MCS)을 도입했다. 운전자가 측량사 없이 3D 설계도면만 보고 작업할 수 있도록 굴삭기에 고정밀GPS와 각종 센서를 장착한 것이다. 공기 단축과 원가 절감 효과가 있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신기술을 적극 수용하면서 '스마트 건설'이 더욱 보편화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건설 적용은 필수로 여겨지고 있다"면서 "이미 각 현장엔 BIM 설계와 드론 측량,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이 확산돼 있다. 안전관리나 생산성 향상에도 큰 기여를 해, 조직개편에서도 전담인력을 늘리려고 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