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뷰 2019] 네이버 기술 공유 장···검색부터 AI서비스까지 
[데뷰 2019] 네이버 기술 공유 장···검색부터 AI서비스까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이버 검색·플랫폼·클라우드·동영상·AI 분야 기술 소개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네이버 각 사업 분야의 최신 연구 기술들이 소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 공유의 장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검색·플랫폼·클라우드·동영상·AI 등 분야에서 적용된 최신의 기술은 물론, 향후 비전까지 공개되면서 주목됐다.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국내 최대 규모 소프트웨어(SW)·AI 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W) 2019' 행사를 열고 네이버의 각 사업 분야의 연구 기술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김광현 NAVER Search 리더가 네이버 검색·AI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는 네이버 검색·AI 기술의 핵심 가치로 '사용자의 이해'를 꼽았다. 이날 네이버 검색 기술을 설명한 김광현 NAVER Search 리더는 "20여년 간 네이버 검색 기술 개발의 핵심 가치는 '사용자의 이해'"라며 "네이버 검색은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리더는 PC 통합 검색 시절부터 AI시대로까지 이어지는 네이버 검색 기술의 변화를 소개했다. 그는 "검색 품질 개선을 위해 기술·언어처리 알고리즘과 함께 대용량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검색 플랫폼 연구를 쉬지 않고 이어왔다"며 "모바일 시대에는 작은 화면에서 정확한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교한 검색 알고리즘을 연구했고, 사용자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검색 품질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김 리더는 이제 AI 시대에 도래했다고 강조하며 "텍스트를 넘어 사용자 일상 언어나 일상의 언어나 대화를 이해하고 문맥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미지 동영상을 분석해 제공하는 비주얼 검색 기능,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전에 알려주는 추천 기능 등을 제공하며 소비자 만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리더는 네이버 기술의 발전은 △우수한 알고리즘 개발 △풍부한 데이터 △컴퓨팅 파워와 인프라 등을 통해 이뤘다면서 "뿐만 아니라 네이버는 해외에서 인정하는 우수한 인력들을 갖춘 만큼 좋은 기술, 뛰어난 기술로 더 많은 소비자를 만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김태웅 Storage&Cloud 플랫폼 리더가 네이버 플랫폼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 플랫폼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환경을 고도화하고 관측 가능성(Observability)과 함께 오픈소스 생태계 활용 등을 확대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 플랫폼을 소개한 김태웅 Storage&Cloud 플랫폼 리더는 "네이버 플랫폼 서비스 수많은 플랫폼 연결과 상호작용으로 제공된다"며 "네이버서비스 내부는 컨테이너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Cloud Native Computing) 환경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리더는 "네이티브 컴퓨팅 환경은 시스템 구성요소 간 의존성을 최소화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개별 구성요소들이 장애에 스스로 대응,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며 "시스템에서 무슨일이 발생하고 있는 지 알 수 있고 쉽고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 적용하기 위해 네이버 컨테이너 클러스트(NCC)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NCC를 적용하면서 급격한 트래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예비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실시간성 워크로드를 처리하는 스페이스리스 컨테이너와 배치작업을 처리하는 스테이트풀 컨테이너를 NCC로드에서 적절히 분별, 사용하면서 서버자원 사용률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현재 검색 서비스의 60% 이상, API Gateaway를 포함한 20개 이상 서비스와 플랫폼들이 컨테이너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리더는 또 "대규모 시스템에서 무슨일이 발생하고 있는 지 알 수 있는 Observability(관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APM이 중요한데 네이버는 2015년 오픈소스 APM 플랫폼 핀포인트를 공개하고 자바(Java) 생태계를 지원해왔다"며 "올해 핀포인트는 분산 트레이싱 기능의 데이터로밍, 수집형 데이터를 지표화하는 플랫폼 등을 연계해 시스템 Observability를 확장하고 자바 생태계뿐 아니라 code contribution 지원 환경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박기은 클라우드 NBP CTO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인프라 기술의 총 집합체"라고 소개했다. 

박기은 클라우드 NBP CTO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는 6개 해외 클라우드 리전에 130여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시장에서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이버 IT 인프라 기술의 품질과 안정성, 그리고 보안성을 바탕으로 국내 자체 기술로 만들어진 서비스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기업 ·서비스의 글로벌 질출에 가교 역할을 하는 동시에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또 다른 대안이라는 데서도 특별하다"고 덧붙였다.  

박 CTO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소개하며 "△하이버바이저 서버 △오버레이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등 기반 기술과 △가상화된 컴퓨팅 자원 제어 △다중 사용자 △인프라 구성, 소프트웨어 구현 △멀티존, laaS/PaaS/SaaS 상품 △모니터링, 미터링 등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다"며 "또 △웹 콘솔, API 제공 △회원관리, 상품 ·서비스 구매, 빌링 △마켓플레이 등 서비스 기술도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개발자의 관점에서 클라우드를 보면 번거로운 서버 설정과 용량 관리를 잊어도 되는 오토 스케일링 서비스이며, 관리형 플랫폼으로써 데이터베이스나 스토리지를 대신 관리해줘 유용하다"며 "다양한 개발 도구와 환경이 제동되는 소스 관리·빌드·배포 서비스와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여러 자원을 불러다 사용할 수 있는 API 상품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한다"고 했다.  

박 CTO는 "클라우드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업체즐에게 보편적인 서비스"라며 "서비스와 음질이 중요한 글로벌 로밍 무료 음성통화 서비스,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5G간 브레인리스 로봇 제어 등에 활용된다"고 부연했다.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장준기 V CIC 공동대표가 네이버 동영상 서비스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는 동영상 서비스 기술에 대해 라이브 기술력을 기반으로, 향후 현장감을 극대화하겠다는 기술 비전을 제시했다.

장준기 V CIC 공동대표는 "네이버 동영상 서비스 VLIVE는 라이브 기술력을 기반으로, 스타와 글로벌 팬들의 필수 앱으로 성장했다"며 "현재 해당 앱은 누적 다운로드 8200만명, 월간 방문자수 3100만명, 유료 구매자수 480만명 등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 대표는 "방탄소년단의 웹블리 라이브 콘서트, 멀티캠을 활용한 몬스터액스의 팬미팅 현장 등 글로벌 최고 수준의 라이브 기술력을 선보였다"며 "향후 네이버 동영상 서비스는 공연장 VIP석에서 느끼는 생생함, 감동과 소통을 전세계로 전달하겠다는 기술 비전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네이버 동영상 서비스는 출시 이후 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구축, 실시간 소통, 알림, 서비스 장애 고립과 자동 전환 등 기술 허들을 지속해서 넘어왔고 지금은 글로벌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아직도 좌우 음향 공간감이라든지 소통 부분의 댓글, 스티커 등 표현 방식의 개선이라든지 개선할 부분들이 있지만 계속해서 기술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현장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VR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스마트 TV앱을 통해 삼성과 LG TV에서 8K·위성·돌비 등 더 크고 선명한 영상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SW)·분야 연례 콘퍼런스 데뷰(DEVIE) 2019를 개최했다. 김성훈 Clova AI 리더와 네이버 관계자가 인공지능 음성 전화 예약 'AI 콜(Call)'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오세정 기자)

네이버는 네이버 AI 서비스에 대해 △이해 △감동 △편리성을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김성훈 Clova AI 리더는 "인공지능은 사용자를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감동과 편리함을 제공한다"며 "이해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람의 말을 이해한다는 것이며, 음성인식을 통해 더 정확하게 듣는 것에서 더해져 이젠 보는 음성인식이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기술에서 중요한 것은 음성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네이버는 라바(LARVA) 서비스 이용해서 90% 정도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며 "장면 인지를 통해 어떤 행동을 하는지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고 부연했다.

김 리더는 "이런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 음성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구현한 AI 음성합성 기술로 슬픔과 기쁨 등 감정을 전달해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고 곧 사투리 억양까지 적용한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며 "네이버 사용자가 직접 쓴 256글자를 가지고 손글씨를 복원한 최근 이벤트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 사례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찍어서 계산하는 영수증 OCR 등 다양한 AI 기술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삶을 더욱 편리하게 도와줄 것"이라며 "최근 쉽고 빠르게, 또 안전하게 얼굴을 인식하는 보안 기술로 '페인스 사인(Face Sign)'을 선보였고, 음성인식·음성합성 기술을 조합해 사람을 대신해 전화받는 새로운 전화 상담 서비스, 인공지능 음성 전화 예약 'AI 콜(Call)'을 연내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