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도 투자 시대"···무르익는 공모형 리츠
"부동산도 투자 시대"···무르익는 공모형 리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최대 '조'단위 롯데리츠, 10월 말 상장 예고
리츠 성장세 뚜렷하고 저금리, 정부 지원책 '호재'
서울시 전경. (사진= 박성준 기자)
서울시 전경. (사진= 박성준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최근 자산 규모만 1조5000억원에 달하는 신규 리츠(REITs)가 상장을 예고하면서, 저금리 기조에 따른 새로운 투자 대안처로 공모 리츠 시장이 떠오르고 있다. 

리츠는 주식발행을 통해 다수 투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상품에 투자·운용해 발생하는 이익을 주주들에게 배당하는 방식의 부동산간접투자기구를 말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AMC는 이달 말께 롯데리츠의 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공모금액 4299억원, 부동산 감정가액만 1조4900억원에 이른다. 이달 말께 코스피에 상장될 경우 기존 업체인 5개사(에이리츠, 케이탑리츠, 모두투어리츠, 신한알파리츠, 이리츠코크렙)를 훌쩍 뛰어넘는 국내 최대 리츠로 시장에 진입할 전망이다.

그동안 리츠·부동산 펀드의 경우 대부분 대형 투자기관에서 투자하는 사모형 투자로 운영돼 기관투자자, 외국인 등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실제로 지난해 부동산 간접투자시장에서 사모형 투자는 지난해 150조원을 기록했지만, 공모형 투자의 경우 6조원 수준이었다. 증시에 상장된 공모 리츠 또한 5개 뿐이다.

지난 3월 국내 최초 '조'단위 공모 리츠 상장으로 관심을 모았던 홈플러스리츠가 사전 수요예측 결과 제값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자 상장을 자진철회했고, 걸음마 단계를 걷고 있는 국내 공모형 리츠 시장의 열기는 한풀 꺾이는 듯했다.

그러나 전체 리츠 시장의 규모는 2002년 5584억원으로 출발해 2013년 11조원까지 성장했으며, 지난 8월 기준으로는 46조원를 넘어서는 등 빠르게 규모를 키워가고 있다. 게다가 국내 전체 시가총액 대비 상장 리츠의 비중이 0.06% 수준에 불과해 미국(4%)과 싱가포르(13.4%) 등 금융선진국들의 사례를 고려한다면 성장 잠재력도 갖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리츠코크렙과 신한알파리츠의 경우 올해 1월 최저가보다 9일 기준 각각 45%, 49% 상승하기도 했다.

정부도 시장 활성화를 위해 지난달 11일 '공모형 부동산 간접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세부적으로는 공공시설 민간 사업자 선정 시 공모자금 조달 사업자를 우대하고, 공모 리츠에 투자하는 개인 및 기업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외에도 상장규정을 개정해 예비심사를 면제하는 등 상장 진행 속도를 높여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저금리 기조 또한 부동산 투자에 고무적이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기업 투자가 감소하면서 저금리 기조가 확산되고 있으며, 지난 7월 한국은행도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이런 금리 인하는 유동성을 확대시키고 부동산 가치 상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금융 비용을 절감시켜 리츠의 배당성향을 높게 가져가는 등 수익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렇듯 부동산 투자의 시장 환경이 마련되면서 기업들도 공모 리츠 시장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이달 롯데리츠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NH리츠(오피스리츠), 이지스자산운용리츠(오피스·호텔) 등 7개 리츠사가 신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홍지환 NH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외국의 선례를 볼 때 롯데리츠가 상장돼 사실상 주가가 상승한다면 다른 자산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들이 공모 리츠로 전향해 전체 시장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수 있다"며 "향후 리츠는 부동산 투자 시장의 커다란 '줄기'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대하 하나금융투자 상무도 "정부의 공모 시장 활성화 방안과 맞물려 지난해 중국에서 사업을 정리한 롯데가 성장 모멘텀이 있는 리츠 시장으로 진입하려는 것"이라며 "국내 공모리츠 시장은 사모형 중심의 시장이었지만, 세제혜택 등으로 공모 시장까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꾸준하게 배당수익이 나오는 것처럼 인식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결국 주식이기 때문에 주가 변동에 따라 수익을 볼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다"며 "또 부동산 투자 특성상 정부 정책에 따라 자산가치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