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 100곳 중 14곳
영업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 100곳 중 14곳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험기업 한계 전이율도↑···신용위험 관리 강화해야"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3200곳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들어 한계기업에 새로 진입하거나 잔류하는 기업은 늘고 있어 이들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관리 노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9월 금융안정 상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말 기준 한계기업(이자보상배율 3년 연속 1미만 기업)이 외감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2%(3236개)로 2017년(13.7%, 3112개) 대비 0.5%p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내 한계기업 비중이 10.6%로 전년(9.9%) 대비 0.7%p, 중소기업의 경우도 14.9%로 전년(14.4%) 대비 0.5%p 올랐다. 업종별로는 조선(24.0%), 해운(16.8%), 운수(18.7%), 부동산(22.9%), 숙박음식(35.8%) 등에서 한계기업 비중이 전체 평균(14.2%)을 상회했다. 

한은은 최근 한계기업에 신규 진입하거나 잔류하는 기업은 증가하는 반면 이탈하는 기업은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한계기업이 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자보상배율 2년 연속 1미만 기업) 비중이 2017년 19.0%에서 지난해 20.4%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중 실제 한계기업으로 전이되는 비율도 2017년 53.8%에서 지난해 63.1%로 상승 전환했다. 

금융기관의 한계기업 여신규모는 2018년말 107조9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7조8000억원 증가했다. 외감기업 전체 여신 내 비중은 13.8%로 전년말 대비 0.4%p 상승했다. 

기업규모별 한계기업 여신 비중을 보면, 대기업이 11.3%로 전년말(11.2%) 대비 0.1%p 상승했으며 중소기업도 19.4%로 전년말(18.5%) 대비 0.9%p 올랐다. 업종별로는 운수(+10.7%p, 전년말 대비), 해운(+5.7%p), 숙박음식(+2.3%p) 등에서 한계기업 여신 비중이 크게 상승했다.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 비중이 높은 은행일수록 고정이하여신비율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체 대출액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된 비율로 부실 채권을 의미한다.

한계기업은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데다 저신용등급 및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의 비중이 높아 경영여건이 추가 악화될 경우 부실위험이 크게 증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신용평가사 나이스(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평점 7~10등급 한계기업 비중은 84.2%에 달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은 최근 글로벌 교역여건 악화, 국내 경기둔화 등으로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한계기업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이들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관리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