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7년 1·2인 가구 72.3% 육박···비혼·만혼 증가 영향
2047년 1·2인 가구 72.3% 육박···비혼·만혼 증가 영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년 뒤 고령자가 전체 가구 절반
2027년부터 1인 가구 비중 32.9%로 가장 많아

 

높은 주택가격 등으로 1인가구 등 혼자사는 가구가 많아질 전망이다. 사진은 다산신도시에 들어설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서울파이낸스)
높은 주택가격 등으로 1인가구 등 혼자사는 가구가 많아질 전망이다. 사진은 다산신도시에 들어설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윤미혜 기자] 2047년이면 1인가구와 2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72.3%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또 독거노인이 늘고 비혼(非婚)·만혼(晩婚) 인구 증가로 1인 가구는 37.3%에 이르고,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을 하지 않는 등 2인 가구도 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18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7~2047년 장래가구특별추계'를 발표했다. 추계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17년 558만 3000 가구(28.5%)에서 2047년 832만 가구(37.3%)로 늘어난다.

특히 8년 후인 2027년부터 전체 가구 유형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32.9%로 가장 많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평균 가구원 수는 2.48명이었지만 점차 감소해 2047년이 되면 2.03명까지 떨어진다.

가장 큰 원인은 고령화에 따른 독거노인 증가다. 가구주 연령을 살펴보면 1인 가구 중 70대 이상인 가구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2017년에는 1인 가구 중 가구주가 30대 이하인 비중이 35.6%(198만8000가구)로 가장 높았지만, 2047년이 되면 가구주가 70대 이상인 가구가 40.5%(337만 2000가구)로 역전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20년 베이비부머 세대가 65세로 진입하면서 고령 가구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며 "황혼 이혼도 늘어나는 추세여서 30년 후에는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가 2017년보다 2.8배 많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높은 주택가격 등으로 인해 결혼 여건이 어려워지며 비혼과 만혼이 늘어나는 것도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으로 꼽혔다. 2017년 가구주의 혼인 상태를 보면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1221만4000가구로 전체의 62.4%였지만 2047년에는 47.8%로 14.6%포인트 떨어진다. 반면 미혼은 같은 기간 16.9%에서 26%로 약 10%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은 했지만 자녀가 없거나 독립해 노부부만 남은 부부 가구는 2017년 15.8%에서 2047년 21.5%(479만4000가구)까지 늘어난다. 가구 유형별로 보면 1인 가구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반면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31.4%(615만 가구)에서 16.3%(363만 8000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2047년이 되면 1ㆍ2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72.3%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출산율이 낮아지고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 국내 경제의 잠재성장률도 크게 위협받게 된다"며 "부부 가구만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 등을 확대 적용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