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석유시설 '드론에 당했다'…'뿔난' 트럼프, 유가 영향은?
사우디 석유시설 '드론에 당했다'…'뿔난' 트럼프, 유가 영향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럼프-사우디 왕세자 긴급 통화 상황 공유
"美·이란 관계 악화, 유가 상승 촉발 가능성"

[서울파이낸스 이슈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최대 석유시설인 아브카이크 단지와 인근 쿠라이스 유전이 예멘 반군의 공격을 받았다.

14일(현지시간) 사우디 국영방송은 이날 새벽 예멘 반군의 무인기(드론) 폭격을 받았다면서 시설 가동과 원유 생산에 별다른 피해가 없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내부 관계자들을 인용한 '가동 중단' 보도가 속속 나오면서 타격이 전혀 없었다고는 보기 어려운 상황으로 전해진다. 위성 사진에서도 검은 연기가 보일 정도로 화재 규모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아브카이크 단지는 사우디 동부에 몰린 주요 유전에서 생산되는 원유를 탈황·정제해 수출항이나 국내 정유시설로 보내는 시설이다. 하루 처리량이 700만 배럴로 사우디 전체 산유량의 70%에 달한다.

예멘 반군은 이날 무인기 10대로 아브카이크 단지와 쿠라이스 유전을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이 사실이라면 사우디로서는 물리적 피해뿐 아니라 국가의 '생명줄'이라고 할 수 있는 기간 시설의 취약성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말았다.

서방보다 기술력이 낮고 저렴한 예멘 반군의 무인기가 사우디 영공을 남에서 북으로 가로질러 무려 1천㎞를 날아와 가장 중요한 국가 기간시설을 타격했는데도 속수무책으로 당했기 때문이다.

에너지 분석가 존 켐프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번 무인기 공격으로 아브카이크 시설이 사우디에서 가장 위험한 취약지라는 점을 다시 떠올릴 수 있게 됐다"면서 "석유시설 단 한 곳의 가동 중단으로도 하루에 원유 수백만 배럴이 시장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에너지 시장 컨설팅회사 라피단도 이날 낸 보고서에서 "아브카이크 시설은 2006년 2월에도 알카에다가 차량폭탄으로 공격한 곳"이라며 "이곳은 사우디를 적대하는 세력의 최우선 표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서방은 군사적 수단으로 호르무즈 해협은 (이란이 봉쇄해도) 빠르게 재개할 수 있지만 구조적 취약점을 지닌 아브카이크 시설은 신속히 대체하거나 수리할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사우디 국영 SPA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이날 공격과 관련해 긴급히 통화했다"고 전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긴급 성명에서 "세계 원유 시장은 현재로선 재고가 충분해 공급은 잘 이뤄질 것"이라며 "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사우디 당국, 주요 산유국과 수입국과 연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공격으로 소강상태였던 예멘 내전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왕정을 지탱하는 석유 산업의 기간시설을 공격당한 사우디는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선언했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에서 "테러분자(예멘 반군)의 침략에 제대로 대응하겠다"고 말했고 예멘 반군도 "적들에게 더 뼈아픈 작전을 하겠다"고 맞받았다.

사우디와 미국이 예멘 반군의 후원자로 이란을 지목하는 만큼 미국은 이날 공격을 사우디에 대한 이란의 군사 위협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에서 이란산 원유 수입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대이란 제재가 일부 해제될 수도 있다는 기대가 커졌으나 이번 공격으로 그 가능성이 다시 낮아지게 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중동의 지정학이 복수심을 안고 돌아와 원유 시장을 강타함으로써 모두가 두려워하는 일이 발생했다"면서 "피해가 커 시설 가동 중단이 길어지면 원유 수입국이 비축유에 손을 대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사우디의 원유 수출이 장기간 차질을 빚으면 석유수출국기구와 주요 산유국(OPEC+)의 원유 감산 기한 연장 논의가 백지화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