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손해액 '눈덩이'…지난해 8.7조원 '16%↑'
실손보험 손해액 '눈덩이'…지난해 8.7조원 '1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硏 "비급여 의료비 통제해야"
"밀레니얼 세대 위한 상품 필요"
(사진=보험연구원)
(사진=보험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우승민 기자]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액이 급증하고 있어 보험회사의 재정 건전성뿐만 아니라 국민 의료비 관리 측면에서 비급여 의료비를 통제하기 위한 공·사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보험연구원 이태열 선임연구위원은 4일 '총의료비 관리 차원에서 본 실손보험금 증가 현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액은 약 8조7천300억원으로 전년보다 15.7%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1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19.0% 늘어난 약 2조6000억원을 기록해 증가세가 더욱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액은 보험금과 미보고발생손해액(보험사고는 이미 발생했지만 아직 보험사에 청구되지 않은 보험금)을 합한 수치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실손의료보험의 총 보유계약 건수가 사실상 정체 상태여서 이 같은 손해액 급증은 의료비 증가로 보험금이 늘어난 게 주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일명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정부의 최근 건강보장 강화 정책에서 의료비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그는 "공적 보장 확대 정책의 특징은 예비급여 등을 도입해 총의료비의 증가를 통제하는 동시에 공적 건강보험 보장을 확대하는 양면접근으로 공적 건강보험 보장률(급여비/총의료비)의 상승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있다"며 "보장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총의료비, 특히 비급여 의료비를 통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총의료비는 보험급여비, 본인부담금, 비급여 의료비의 합계다.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의료비를 보장하는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액 급증세를 고려하면 건강보험 보장률의 개선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고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적했다.

그는 "총의료비 관리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안은 예비 급여를 확대하되 나머지 비급여 의료비를 관리하기 위한 공·사 협의 체제를 강화하는 것"이라며 비급여 의료비 표준화, 전문 심사 기관에 의한 비급여 의료비 적정성 심사 등의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우리나라 건강보험 보장률은 지난해 67.2%로, 2023년까지 70%로 끌어 올린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한편 보험사들은 핵심적인 경제인구로 부상한 밀레니얼 세대를 위해 가입의향이 높은 저축성보험 공급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보험연구원 보험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는 실손의료, 어린이보험 이외의 모든 보험상품에서 40~50대에 비해 낮은 가입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대의 경우 연금‧변액‧저축성 보험의 가입률이 1.3%~4.8%로 매우 낮았다. 하지만 이들은 저축성(저축성, 연금보험)보험에서 가입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산축적과 노후소득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밀레니얼 세대가 적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최장훈‧조영현 보험연구원은 "밀레니얼 세대의 보험 가입의향은 상대적으로 높다"며 "보험사들은 이들에게 적합한 상품 공급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밀레니얼 세대는 온라인 채널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세대는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수집, 소비재‧서비스‧금융상품 구매 등이 40~50대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에따라 밀레니얼 세대의 성향에 부합하는 저축성보험을 온라인으로 마케팅 판매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인출기능이 있는 유니버설보험을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마케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들은 현재 가입률은 낮지만 가입의향이 높은 저축성보험의 공급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최장훈‧조영현 보험연구원은 "현재의 즐거움과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태도를 가진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성향과 저축여력을 고려하면, 만기가 짧거나 자금인출이 용이한 저축성상품을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