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제보복에 소재株 급등···"삼성전자, 체질개선 기회"
日 경제보복에 소재株 급등···"삼성전자, 체질개선 기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현장.(사진=삼성전자)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미국과 중국이 무역분쟁 휴전에 숨통이 트였던 반도체 업종이 '일본 수출규제'에 이슈에 휩쓸렸다. 

2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350원(0.75%) 하락한 4만6250원, SK하이닉스는 1400원(2.00%) 오른 7만1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소재 분야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협력하는 동진쎄미켐(2.95%), 솔브레인(4.55%), 이엔에프테크놀로지(0.24%) 등의 주가는 오히려 올랐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밝힌 이후, 국내 소재 및 부품 기업들의 주가는 급등세를 연출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제조사들 역시 우려와 달리 주가적 영향은 미미했다.  

앞서 일본경제산업성은 지난 1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최첨단 소재의 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수출 규제는 오는 4일부터 적용된다. 규제 대상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리지스트(감광제), 고순도불화수소(에칭가스) 등 3개 품목이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불소 처리를 통해 열 안정성과 강도 등의 특성을 강화한 폴리이미드(PI) 필름으로 플렉서블 OLED용 핵심소재다. 국내 공급사가 없어 일본 스미토모에서 거의 전량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리지스트는 반도체 노광 공정에서 필름 역할을 하는 핵심소재다. 국내 금호석유화학과 동진세미켐, 동우화인켐 등도 생산하고 있긴 하지만 전공정 핵심 단계에 채택된 것은 아니다. 반도체 제조상의 가장 핵심 단계인 '노광' 공정(레이어)에 있어서는, 대부분 신에츠화학, JSP 등 일본 기업 제품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불화수소는 유리나 실리콘을 녹이는 물질로 반도체 식각 및 세정 공정과 디스플레이 슬리밍 공정의 소재로 사용된다. 솔브레인, 이엔에프테크놀로지가 국내에 공급하고 있지만 일본업체들과의 조인트벤처(JV)를 통해 원재료를 수입하고 합성 정제해 공급하는 수준에 그친다. 결국 실질적으로 일본 업체들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일 수입 규모 1위 품목은 반도체 제조장비다. 61억달러 규모다. 이어 반도체 45억달러, 철강판 24억달러 등순이다. 반도체 제조장비만 봐도 전체 수입량의 30% 이상이 일본에서 오고 있다. 수입규제가 강화하면 우리나라는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본에서 오는 재료가 있어야 한다"며 "반도체 같은 경우 일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0%정도 되기 때문에 분명히 국내기업들에게 영향이 미칠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일본에서 제한한 품목 중 리지스트와 불화수소는 국내 업체들이 일부 생산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퀄리티 등에서 분명 차이가 있다"며 "또 일본의 원재료를 정제·재가공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국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긴장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 가지 품목 모두 일본 의존도가 높은 만큼 조치가 장기화 될 경우 국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피해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일본의 수출 규제가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우선 전면적인 수출금지가 아니고, 일본이 반도체 선단공정용 소재를 한국으로 수출하지 않으면 대만 외에 수요처를 확보하기 어렵다"며 "중국의 힅토류 수출 제한 가능성이 자충수가 아닌 무역갈등에서 협상용 카드로 사용되는 것 처럼 일본도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를 협상용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양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최악의 경우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들에게 있어 단기적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지만, 반도체·디스플레이 수급은 과잉 국면이다"라며 "이번 이슈는 국내 제조사가 과잉 재고를 소진하고 생산 차질을 빌미로 가격 협상력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 생산 차질에 대한 일본 반사 이익도 부재한데다가, 국내 제조사와 소재 업계는 일본 수입 심사 기간을 견딜 재고를 보유한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가 자국산 소재 비중을 확대할 계기로 활용할 수 있어 소재업체의 중장기 국산화 수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