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 소규모 재건축·정비사업까지 '눈독'
대형 건설사, 소규모 재건축·정비사업까지 '눈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건축·재개발 수주 물량↓···'주택 규제 영향'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한 건축공사 현장. (사진= 박성준 기자)
한 신축아파트 공사 현장. (사진= 박성준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올해 대형 건설사들이 미니 재건축 등 소규모 정비사업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정부의 주택규제가 지속되면서 대규모 재건축·재개발 수주 물량이 감소하자 중소 건설사들의 먹거리마저 빼앗고 있는 형국이다.

2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형 건설사들이 미니 재건축, 가로주택정비사업, 지역주택조합사업 등 소규모 정비 사업권을 잇따라 수주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2일 서울 마곡동 일원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을 수주했다. 해당 사업은 빌라를 재건축해 지하 2층~지상 15층의 8개 동, 총 400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사업이다. 총 공사비는 약 946억원으로 1000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 4월 온수동 대흥·성원·동진빌라를 하나로 묶어 재건축하는 정비사업을 수주했다. 오피스텔 114실을 포함해 총 518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사업비는 총 1071억원이다. 포스코건설도 올해 4월 사업비 총 1100억원 규모의 잠원동 잠원훼미리아파트 수주에 성공했으며, 두산건설도 이달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성지·궁전아파트 재건축 시공권을 확보, 올해 마수걸이 수주에 성공했다.

사업성이 낮았던 지역주택조합, 가로주택정비사업에서도 대형사 바람이 불고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지난달 충남 당진시 읍내동 일원 지역조합아파트 신축공사를 수주했다. 총 공사비는 793억원 규모다. 지난달 대구에서는 중구 78태평상가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시공권을 두고 현대건설, 대림산업, 호반건설, 반도건설 등 21개 건설사가 각축전을 벌였고, 현대건설이 최종 수주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조합 측에서도 대형건설사·유명브랜드를 선호하기 때문에 중견사들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약 3~4년 전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이 도입되던 시기만 하더라도 대형 건설사들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특유의 많은 인력과 자본이 투입돼 큰 이익을 남길 수 있는 사업이 아닌 데다, 낮은 사업성으로 규모가 작은 사업들은 대형사들의 성격과 맞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정부의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가 지속되고 대규모 정비사업 수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돈이 될 만한 작은 사업지들조차 대형 건설사들이 장악하고 나선 것이다. 실제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4월 재건축 수주는 지난해 4월과 비교해 43.5% 감소한 1600억원대를 기록했다. 1~4월 누계 재건축 수주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9% 감소했다.

아울러 정부에서도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 등 소형 도시재생 사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업계의 경향이 대규모 정비사업에서 소규모로 전환하고 있다. 실제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경우 규모가 작고, 사업성이 낮아 지자체 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추진해왔으나, 최근 정부가 임대주택을 넣을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는 등 건축기준을 완화하면서 민간기업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과거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15만평 이상의 대규모 뉴타운을 일괄적으로 조성하는 선도형 시범단지를 조성했었다"면서 "그러나 이주멸실, 거주민 재정착, 공급과잉 등의 문제로 부작용도 여럿 나타나면서 추진하는 사업규모가 작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형건설사에 밀려난 중소건설사들에게는 분명히 어려운 시기이지만, 가로구역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등 20가구 미만의 소규모 사업과 역세권 개발 등도 가능하다"면서 "정부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모델링 개발과 함께 주택평면 공급 유형을 다변화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