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간편결제 시장 '물꼬'···'크로스-보더' 플랫폼 주목
해외 간편결제 시장 '물꼬'···'크로스-보더' 플랫폼 주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日라인페이'-비자카드·NHN페이코와 맞손
카카오페이-알리페이는 동남아 공략
(사진=라인페이)
(사진=라인페이)

[서울파이낸스 윤미혜 기자] 앞으로 해외에서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QR코드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수료로 먹고, 마시고, 즐기는 등 해외 결제 편의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모바일 송금 및 간편결제서비스를 운영하는 라인페이가 비자카드·NHN페이코와 나란히 일본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또한 대만·태국 등 동남아시장을 거점으로 점차 그 영역을 넓히는 등 국경을 넘는 '크로스보더(cross-border)' 결제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11일 카드업계와 핀테크 업계에 따르면 국제브랜드사 비자(Visa)와 라인(LINE) 메세징 앱을 기반으로 핀테크 서비스(모바일송금·결제서비스)를 운영 중인 라인페이(LINE Pay)는 현지 결제 인프라를 활용한 간편결제, 로열티 프로그램, 가맹점 솔루션, 블록체인 분야에서 협업하기로 했다. 라인페이를 사용하고, 스마트폰을 로밍만 하면 세계 어디서나 비자 제휴 카드를 통한 해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NHN페이코 또한 라인페이와 '글로벌 얼라이언스' 구축을 위한 전략적으로 협업한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NHN페이코는 라인페이의 최대 강점인 플랫폼 경쟁력과 현지 결제 인프라를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라인페이는 페이코가 구축한 한국의 오프라인 결제 거점을 활용해 한국 시장을 진출할 수 있다.

라인페이는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1억6400만 명이 이용하는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라인(LINE)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결제 서비스로, 일본, 대만, 태국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카카오페이도 중국 알리페이와 제휴해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간편결제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페이가 알리페이와 협업할 경우 알리페이 가맹점과 같은 QR코드를 사용할 수 있고, 한국에 여행 온 중국 관광객이 카카오페이의 QR코드를 사용해 알리페이로 결제할 수도 있게 된다.

네이버페이도 이달 중 네이버 일본 자회사인 '라인'의 160만개 현지 가맹점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업계에서 가장 먼저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같이 간편결제사들이 해외 결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이유는 지난달 28일 외국환거래법이 개정됐기 때문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비금융회사(전자금융업자 등)의 외국환업무 범위에 전자화폐·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 및 관리업을 추가해 핀테크 서비스의 '전자지갑'에 사이버머니 형태로 충전해 둔 돈을 해외에서도 쓸 수 있게 했다. 원화로 사이버머니를 충전하고 해외에서 QR코드만 읽히면 충전해 둔 사이버머니가 최신 환율에 맞춰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또한 고객은 기존 신용카드의 경우 해외에서 결제할 때 비자(VISA)나 마스터(MASTER) 등 국제 브랜드망 이용 수수료 명목으로 결제대금의 1% 내외를 추가로 내야 했지만 간편결제의 경우 수수료 대금을 아낄 수 있어 이득이다.

가맹점 주인 입장에서도 신용카드보다 디지털결제 시스템을 갖추는 게 유리하다. 신용카드는 고객이 결제한 금액을 최대 90일이 지나야 받을 수 있었는데, 모바일 페이는 바로바로 결제할 수 있다. 수수료 역시 알리페이는 0.35% 정도로, 신용카드가 1.5%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저렴한 편이다.

NHN페이코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결제 시장이 현금 없는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면서 "해외 여행객 또한 증가추세여서 글로벌 스탠다드를 표방하는 크로스보더(cross-border) 결제 수단이 필요하다. 국내외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성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수수료율은 서비스 개시 시점에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기존 신용카드 사용 시 내야 하는 수수료보다는 낮은 수준이 될 것"이라며 "라이선스 등록 절차 등이 마무리된 후 사용자 니즈에 맞춰 일본을 시작으로 중국, 동남아 등 국가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