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서울파이낸스 포럼] 혁신금융 활성화 하려면···"금융의 디지털화·혁신 가속화 해야"
[2019 서울파이낸스 포럼] 혁신금융 활성화 하려면···"금융의 디지털화·혁신 가속화 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패널, "낡은 규제혁신·자생가능한 환경 조성해야" 한뜻
(사진=서울파이낸스 DB)
2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서울파이낸스의 '혁신금융 활성화 방안' 포럼에서 주제 발표자 및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두희 멋쟁이 사자처럼 대표, 김성태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보, 한동환 KB금융지주 디지털혁신총괄 전무 겸 KB국민은행 디지털금융그룹 대표,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좌장), 송현도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과장, 김종현 한국투자파트너스 상무,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기업혁신금융연구센터장.(사진=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윤미혜 기자] 믿고보는 경제신문 서울파이낸스가 29일 주최한 '혁신금융 활성화 방안' 포럼에서 금융사와 스타트업 벤처 간 상생 전략으로 '금융의 디지털화'와 '혁신의 가속화'에 중점을 둬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오후 서울 은행연합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 서울파이낸스 주최 '혁신금융 활성화 방안' 주제의 포럼에서 패널 토론회에 참석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자의 견해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를 좌장으로 김종현 한국투자파트너스 상무,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기업혁신금융연구센터장, 송현도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과장이 주제발표자와 함께 토론에 참석했다.

먼저 김종현 한국투자파트너스 상무는 현장에서 직접 느끼는 부분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김 상무는 "금융당국이 핀테크 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 3년 동안 노력한 결과 많은 규제가 완화됐으나 우리나라 기업들이 세계로 나아가 더 좋은 회사로 성장하기에는 아직까지 부족한 점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핀테크 회사가 금융회사로 간주되면서 기업적인 측면에서는 다른 회사의 M&A에 제한이 되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핀테크 회사가 신사업을 진출하거나 하는 부분에서 제한사항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내 또는 해외 사례를 봤을 때 가장 좋은 것은 어떤 인위적인 도약책이나 수단들을 통해 시장이나 기업이 성장하는 것 보다, 자생적인 혁신을 할 수 있는 시장 분위기가 조성되고 그걸 통해 기업들이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기업혁신금융연구센터장은 금융회사의 혁신은 핀테크 스타트업과 어떤 투자나 전략적 제휴를 맺는지, 금융사가 혁신 성장 생태계에서 창업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에 달려있다고 봤다.

박 센터장은 "해외에서 금융사들이 활발하게 투자하든 전략적 제휴하든 활발한 활동이 있는데, 우리나라 금융회사는 활동이 약한 건 분명하다"면서 "유니콘 기업들 통계를 보니 우리나라 유니콘 기업은 8개인데, 그 중 핀테크 기업은 하나다. 이는 한국의 유니콘 핀테크가 클 수 있는 시사점이 될 수 있고, 국내에서 핀 테크 기업이 출발이 늦다라는 정도로 해석할 수 있어 고민해볼 여지가 분명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결국 스타트업 육성이 중요하다. 스타트업 정책만 가지고 민간에서 자생적으로 나올 토양이 나와야되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벤처캐피탈은 선두업체 중심으로 투자역량이나 투자의 지역적 범위에서 발전이 이뤄지고 있지만, 업권 전체의 전반적 운용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송현도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과장은 낡은 규제와 더불어 복합규제 혁신을 점차 이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 과장은 "모든 금융규제는 이유를 가지고 만들어졌다. 그런데 시장상황 변화, 오프라인을 전제로 한 규제를 디지털로 환경이 바뀌는 상황에서 어떻게 조절하고 만들어나갈지 계속 고민중이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지난해 말 200건 규제개선 건의 받았다. 6월까지 검토 마무리해 발표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고민하는 건 개별규제 완화 고민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핀테크, 유니콘 사업 모델을 분석해서 국내 적용이 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된다면 무엇 때문인 지 맞춤형 규제에 관해 고민 하고 있다. 그쪽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규제 개혁에 대해 데이터 부분 뿐만아니라 기본법에 해당되는 개인정보보호법, 과기부 정보통신망 법이 국회 같이 들어가 있으며, 당국은 국회에 충분히 설명했고 국회도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동환 KB금융지주 디지털혁신총괄 전무 겸 KB국민은행 디지털금융그룹 대표는 "혁신을 이룰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은행 창구에서부터 고객님의 마음을 받아보셨던 분이 지배구조 상위에 올라가있다는 점이다. KB국민은행은 고객 만족과 사랑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것이 변화·혁신의 동력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민화 교수 또한 주제 발표자들의 논제에 대해 "금융의 디지털화와 혁신의 가속화에 대한 두가지 문제로 압축된다"면서 "한국의 금융투자 생태계가 경직됐다는 것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주회사 입법안건에 대해 김성태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무는 "상담히 민감한 질문"이라며 "아마 입법이 됐을것이고 국회에서 계류중으로 최근 답보상태인 것으로 알고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발언을 이어간 이두희 멋쟁이 사자처럼 대표는 교육 측면에서 시대에 뒤떨어지는 대학 시스템과 일부 교수들의 안일한 인식을 비판했다.

이 대표는 "2003년도 대학 들어갔을 때 슬라이드와 2013년 자퇴할 때 슬라이드가 '년도'만 바뀌고 내용은 바뀐 게 없었다"면서 "지금은 스마트폰이 컴퓨터보다 빠른 시대인데 똑같은 수업을 하고 있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이 옛날 내용으로 수업을 하는 것이다. 교수들은 더이상 수업을 이노베이션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밀려오고 있으니까 수업을 바꾸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