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硏 "중·고령층, 금융 디지털정보화 수준 OECD 하위권"
보험硏 "중·고령층, 금융 디지털정보화 수준 OECD 하위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반 국민의 63% 수준, 정보격차 해소대책 마련 시급"
(사진=보험연구원)
(사진=보험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우승민 기자] 디지털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용하는 능력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가운데 고령층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정보격차가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고령층의 보험 가입이 증가하고, 은퇴한 베이비부머 세대가 보험수요계층으로 등장하는 가운데 고령층의 정보격차는 보험소비자 보호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의 63%에 불과하다.

중·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디지털정보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장애인(74.6), 저소득층(86.8), 농어민(69.8)과 비교해서도 낮은 수치다. 또한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는 OECD 국가들과 비교해서 큰 편이다.

디지털정보 활용 측면에서 고령층은 사회적관계서비스 이용이 많은 편이지만, 금융거래 등에서는 상당히 취약하다. 고령층 보험소비자에게도 정보격차가 존재하며, 특히 금융상품 구매 경험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층은 대면채널 의존도가 높아 보험 가입 시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저렴한 인터넷 채널의 혜택을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고연령일수록 구매절차의 복잡성과 인터넷 사용 미숙이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을 제한하는 주된 요인이다.

특히 인터넷채널을 통한 가입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자동차보험의 경우, 중·고령층은 대부분이 설계사를 통해 구매하고 있어 저렴한 수수료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다. 2018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20~30대의 직판채널(인터넷,통신판매) 이용률은 26~32%에 이르는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6%이하로 낮아졌다.

이에 따라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고령자의 경제활동 필요성이 증가하고, 고령 인구가 주요한 소비활동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오승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정보이용 능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며 "현금 및 대면거래 의존도가 높은 고령층의 경우 정보격차로 금융거래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령층의 이용편의를 증대시키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