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1분기 실적 '미지근'···"하반기부터 '먹구름' 걷는다"
항공업계, 1분기 실적 '미지근'···"하반기부터 '먹구름' 걷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화환산손실·비수기 시즌 맞물린 탓···LCC 나름 '선방'
FSC '비수익 노선·일등석 대거 폐지' 구조조정 후 수익성 제고 '총력'
2019년 1분기 국내 항공사들의 기대 이하 실적이 2분기까지 변동없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부진 실적에 대한 요인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외화환산손실'과 '비수기 시즌과 맞물려 동반 상승한 환율과 유가'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항공(왼쪽) 아시아나항공. (사진=각 사)
2019년 1분기 국내 항공사들의 기대 이하 실적이 2분기까지 변동없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왼쪽) 아시아나항공.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2019년 1분기 국내 항공사들의 기대 이하 실적이 2분기까지 변동없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부진 실적에 대한 요인은 '비수기 시즌과 맞물려 상승한 환율과 유가'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저비용항공사(LCC)들은 부진 상황 속에서도 효율적인 기재 도입 및 노선 확대, 부가서비스 사업 확대 등을 통해 대형항공사(FSC)에 비해 나름 선방한 기록을 세웠다. FSC는 하반기부터 비수익 노선과 일등석을 대폭 줄이는 등 수익성 제고를 위한 핵심 전략을 본격적으로 밀고 나가 동반 성장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CC 또한 새로 확보한 중국 노선을 본격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원가경쟁력을 내세워 뒤쳐지지 않겠단 입장이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FSC는 올해 1분기 기준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3조498억원, 영업이익 148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3조173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영업이익은 16.2% 대폭 감소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수익성 악화가 눈에 띄게 두드러질만큼 실적이 바닥으로 곤두박질쳤다. 매출액은 1조7332억원, 영업이익 72억원으로 매출은 지난해 동기(1조7196억원)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영업이익은 89.1% 급감했다. 

양 사는 이 같은 부진 실적 요인으로 비수기 시즌과 맞물린 유가와 환율 상승을 꼽았다. 국내 항공사들은 항공기나 항공유를 대부분 달러로 구매하기 때문에 환율이 상승할 경우 수익성은 저하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항공유 가격은 연초 대비 29% 상승해 비용부담은 커졌다. 유가도 상승하고 있다. 1분기 평균 배럴당 54달러를 기록했던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지난 3월 말부터 상승세로 전환했고, 4월 이후 지속적으로 배럴당 평균 60달러를 웃돌고 있다.

(시계방향 순서) 제주항공,
(시계방향 순서)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 (사진=각 사)

이 같은 상황에서 LCC들은 나름 선방한 기록을 세웠다. 제주항공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3929억원, 영업이익 570억원을 실현해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19분기 연속흑자를 실현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27.3% 늘어났고 영업이익도 22.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14.5%를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369억원에서 421억2000만원으로 14.1% 늘었다. 

회사는 "유가나 환율 등 외부변수들에 의한 영향을 결코 배제할 순 없었으나 경제 실현에 따른 정비비, 리스료 등 주요 고정비용 분산과 경쟁사 대비 월등한 원가경쟁력,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기단확대 및 가성비를 높일 수 있는 부가서비스 사업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에어서울 또한 1분기 매출액 740억, 영업이익 110억원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34.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50.1% 증가했다.

티웨이항공은 1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411억원과 영업이익 37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18.3% 증가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고, 영업이익은 19.8% 감소했으나 전 분기(125억원) 영업적자에서 벗어나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진에어는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901억원, 영업이익 509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에 비해 3.6% 증가했지만, 기재 도입 제한에 따른 보유기재 대비 인건비 비효율성으로 영업이익은 4.1% 감소했다.

에어부산은 1분기 영업이익이 55억원에 그치며 지난해 동기(173억원)보다 약 68% 급감하는 부진을 보였다.

항공업계의 대표적인 비수기 시즌인 2분기까진 현재 실적에서 크게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하반기부턴 성수기, 신규 노선에 따른 항공여객 수요 상승 및 유가 안정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FSC는 본격적으로 비수익 노선과 일등석을 대거 정리하는 등 구조조정을 끝내고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내세우면서 실적 개선에 열을 올릴 전망이다. 다만 대한항공은 안정적으로 경영환경을 개선, 아시아나항공은 매각 작업을 탈 없이 잘 끝 맺는다는 전제 조건이 성립해야만 한다.  

LCC 또한 최근 정부로부터 배분받은 중국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 노선들을 하반기부터 본격 취항을 시작하면서 동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항공업계 자체가 유가와 환율 등 외부변수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2분기까지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본다. 최근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되면서 환율이 상승하고 있어 외화 부채에 대한 부담도 있을 수 밖에 없다"면서도 "하반기부턴 각 사 모두 수익성 제고를 위해 본격적으로 효율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가고 성수기 시즌에 맞춰 인기노선 취항에 힘쓸 것이기에 실적은 충분히 높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