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10명중 7명 "국내 금융시스템 최대 리스크는 美中 무역분쟁"
전문가 10명중 7명 "국내 금융시스템 최대 리스크는 美中 무역분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11월 발표와 비교해 14%p 하락
기업실적 부진···금융시스템 새 리스크 부상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국내외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꼽았다.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 조정에 따라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2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꼽은 전문가는 67%였다. 다음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 순으로 집계됐다. 

리스크 요인을 중요도 순으로 매겨달라는 조사에서는 근소한 차이지만 1위와 2위 순위가 바꼈다. 전문가들은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등 순으로 1순위를 지목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한은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4일까지 79개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금융전문가 총 96명을 대상으로 국내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을 물어 도출된 것이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전문가들이 판단하는 미·중 무역분쟁 리스크는 지난해 말보다 완화됐다. 지난해 11월 발표와 비교해 미중 무역분쟁을 꼽은 전문가들은 81%에서 67%로 14%p 하락했다.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7%→66%)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44%)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지난해 말 조사에서 응답빈도수 50% 이상을 기록했던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59%), 중국 금융·경제 불안(51%)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됐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대체로 1년 이내 단기에 발생할 수 있다고 봤다.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기(1~3년)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했다. 이 가운데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리스크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클 것으로 평가됐다. 

단기간 내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생길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52%로, 지난해 11월(27%)보다 크게 늘었다. 반면 '높다'로 응답한 비율은 4%에 불과했다. 

다만 이런 결과에 대해 한은은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고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데에도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