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원인' 석탄발전 줄이고 싶어도···전력수급·비용이 문제 
'미세먼지 원인' 석탄발전 줄이고 싶어도···전력수급·비용이 문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보령화력발전소 전경. (사진=한국중부발전 홈페이지)
석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보령화력발전소 전경. (사진=한국중부발전 홈페이지)

[서울파이낸스 김혜경 기자] 연일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면서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전력수급과 비용 등의 문제로 석탄발전 비중이 늘고 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의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석탄발전설비는 총 3만6031MW로 전체 설비(12만6096MW)의 28.6%를 차지한다.

지난해에 비해 1320MW 줄었지만 △2020년 3만7281MW △2021년 3만9911MW △2022년 4만2041MW로 계속 증가한다. 정부가 탈석탄 정책을 추진함에도 석탄발전이 감소하지 않는 이유는 과거에 허가한 석탄발전소 7기가 계속 건설되기 때문이다.

내년 충남 서천에 들어서는 1000MW 용량의 신서천 1호기는 2013년 9월 30일에, 2021년에 준공하는 고성하이 1·2호기(총 2080MW)는 2013년 4월 30일에 발전사업허가를 받았다. 이미 공사비도 집행됐기 때문에 공사를 중단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발전설비는 전력수요 전망 등을 고려한 장기 계획에 따라 건설된다. 현재 운영 중인 석탄발전소를 아무 대책 없이 폐지할 경우 전력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정부는 올해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충남과 수도권 등의 대규모 석탄발전사업자들을 설득해 기존 석탄발전소를 미세먼지를 덜 배출하는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2017년 미세먼지 감축 대책으로 삼척화력 1·2호기 등 아직 공사를 시작하지 않은 석탄발전소 4기를 LNG로 전환하려고 했으나 민간 발전회사 반발로 2기만 전환한 상태다. 

비용 등의 문제를 고려하면 전환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석탄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저발전이다. 석탄발전을 줄이고 LNG를 더 늘리면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생긴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지난 1월 브리핑에서 "석탄발전을 추가로 LNG로 전환하면 9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조금 더 전기요금 상승 요인이 발생할 수 있을 텐데 석탄이 LNG로 얼마나 전환될지 먼저 판단해야 전기요금 상승 요인을 계산할 수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중국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소비된 석탄 4t 중 1t은 중국의 전력 생산에 사용됐다. 비영리 환경연구단체인 '콜스웜'이 지난해 9월 공개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현재 25만9000MW 용량의 석탄발전소가 건설 중이다. 발전소가 완성되면 중국의 석탄발전용량은 125만2000MW로, 현재 한국 내 석탄발전의 약 35배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