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지난해 고정금리 가계대출 비중 '7년 만에 최저', 왜?
[초점] 지난해 고정금리 가계대출 비중 '7년 만에 최저', 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리 상승기 '이례적'…'높은' 주담대 비중·'다른' 경제 전망 등 해석 다양

[서울파이낸스 금융팀] 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이 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금융당국이 향후 금리변동성에 대비해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일 것을 권고한 것과 정반대 현상이 나타난 것인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조절, 경기 둔화 우려로 금리가 앞으로 더 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인식이 확산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예금은행 가계대출(이하 신규취급액 기준)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27.5%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8.1%p 떨어진 것으로, 2011년(18.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이 금리 변동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시중은행에 고정금리 대출 비중 확대를 권고해왔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던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 당국이 제시한 은행 고정금리 대출 비중 목표는 전년보다 2.5%p 상승한 47.5%였다. 정책 목표와의 괴리도 지나치게 크다.

한은 관계자는 "고정금리는 주로 장기물이 많은데, 금리 인상기에는 장기물의 금리 인상 폭이 단기물보다 커 단기물·변동금리 대출 선호도가 높아진다"며 "단기·변동금리 위주로 대출이 늘어나며 장기·고정금리 대출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계부채 규제가 주로 장기·고정금리가 많은 주택담보대출 위주이다 보니 고정금리 비중이 늘어나지 못한 영향도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권고한 고정금리 대출 비중 목표는 계산법이 따로 있다"며 "단순히 수치를 비교해 목표에 미달했다고 판단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다른 한편, 금리 인상기이긴 했지만 경기 둔화 등으로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긴 어렵다는 관측 때문에 차주들이 고정금리 대출을 덜 받았다는 분석도 있다. 이 경우 가계는 금융당국과 시장 전망에 대한 인식을 달리했다는 얘기가 된다.

이론상으로는 금리 인상기 초기에는 고정금리가 차주들에게 이득이다. 당장 금리 수준 자체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지만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면 장기적으로는 상승 가능성이 큰 변동금리보다 일정 수준에서 금리가 유지되는 고정금리가 더 낫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금리 인상기도 거의 끝나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점차 확산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늦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 경기 둔화 우려는 커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미국이 올해 금리를 한 차례 정도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한국은행은 올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했다. 고정금리대출을 받을 때 유리한 금리 상승 추세가 끝났다는 전망이 우세해 지면서 고정금리 대출 매력이 떨어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는 결과론일 수도 있다. 지난해 1년 전체를 놓고 볼 때 미국이 올해 기준금리를 적어도 3회, 많으면 4회까지 올릴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했던 점을 고려하면 그렇다. 결국 미국의 금리인상 횟수와 관계없이 경제상황 때문에 우리나라는 금리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인식을 기반으로 우리 가계들은 고정금리 대출을 기피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오히려 타당해 보인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