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금융] '님(NIM)', 다시 멀어지나…은행 수익성 '속앓이'
[인사이드 금융] '님(NIM)', 다시 멀어지나…은행 수익성 '속앓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출규제·금리인하 압박…올해 NIM 악화 가능성 '무게'
(왼쪽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 (사진=각사)
(왼쪽부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 (사진=각사)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은행의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이 올 들어 악화할 조짐이다. 지난해까지는 NIM이 현 수준에서 방어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정부의 강력한 대출 조이기와 인위적 금리 인하 정책에 중장기적으로는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 은행들이 노심초사 하고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은행 등 4대 주요 시중은행들의 지난해 3분기 NIM은 평균 1.60%를 기록했다. 2017년 연간 평균인 1.55%에 비해 0.5%p 상승한 수치다. 2017년 말 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금리 상승기에 진입하면서 대부분 은행들의 NIM이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은행은 2013년 1.91%에서 2016년 1.58%까지 떨어졌던 NIM이 2017년 1.71%로 반등한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그대로 유지됐다. 신한은행은 2013년 1.76%에서 2016년 1.49%로 하락한 뒤 2017년 1.56%로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작년 3분기 NIM은 1.62%를 기록하며 오름세를 이어갔다. 

지난 2013년 1.94%에 달했던 KEB하나은행의 NIM은 2016년 1.39%에서 2017년 1.49%로 올랐다. 지난해 3분기(1.65%)에는 전년말 대비 0.16%p 큰 개선세를 나타냈다. 우리은행의 경우 NIM이 2016년 1.41%, 2017년 1.47%, 지난해 3분기 1.52%로 꾸준한 상승 흐름을 타고 있다. 

NIM은 은행이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에 따른 이익과 자산을 운용해 낸 수익에서 조달비용을 제외한 뒤 운용자산 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예대마진(예금-대출금리 차이에 따른 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은행 특성상 NIM은 은행 수익성을 나타내는 핵심지표 중 하나로 꼽힌다. 

2005년 2.81%로 정점을 찍은 NIM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98%까지 추락했다가 이듬해 2.32%로 상승 반전했지만 지속적으로 내리막길을 걸으며 2013년(1.87%) 이후 2%대를 넘보지 못하고 있다. 다만 2015년 1.55%까지 하락했던 NIM이 드디어 2017년 1.63%를 찍어 모처럼 견조한 회복세를 나타내 은행들의 기대감도 높아지는 모양새다. NIM 상승은 은행들의 이자이익 증가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축배를 들 분위기는 아니다. 올해는 NIM 상승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전망이 힘을 얻고 있어서다. 대내외 경기 둔화 우려로 연 1.75%대 저금리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데다 일부에서는 금리인하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지난해 가계부채가 1500조원을 넘기자 정부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로 대출 총량을 묶는 등 올해 가파른 대출증가율 둔화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산업은행은 정부의 가계대출규제 강화로 은행업 경영실적이 전년 수준을 넘기 어렵다는 분석을 내놨다. 정부의 부동산안정화 대책으로 가계대출 수요가 둔화하고, 자본조달 비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NIM의 개선 폭이 올 한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 봤다. 

이런 가운데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반영하지 않던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결제성 자금과 차입부채 등을 반영하는 새로운 코픽스 금리를 오는 7월부터 도입해 변동금리형 대출상품의 지표(기준)금리를 0.27%p 낮추는 효과를 내겠다고 발표했다. 금융위는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최소 1000억원 최대 1조원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른 비용은 은행 몫이다.

사실상 '가격 개입'에 은행들의 위기의식도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추후에는 대출금리를 정할 때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덧붙이는 위험가중금리인 가산금리에도 손 댈 여지가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금융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카드사 수수료를 입맛대로 조정했다"며 "같은 논리로 은행에 가산금리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