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은수 삼성전자 전무 "인터넷 끊어져도 스스로 AI 작동 기술 개발 중"
심은수 삼성전자 전무 "인터넷 끊어져도 스스로 AI 작동 기술 개발 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라이버시·속도·연결성 측면에서 기기 자체 AI 필요"
심은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센터장(전무)는 2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세미콘코리아)
심은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센터장(전무)가 2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세미콘코리아)

[서울파이낸스 서예진 기자] 삼성전자가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등 제품 자체에 AI 알고리즘을 탑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심은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센터장(전무)은 2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19' 기조연설에서 "현재 AI는 대부분 클라우드를 통해 구현되지만 향후에는 스마트폰이나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자체적인 AI가 구현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를 '온 디바이스(On-device) AI'라고 이름 붙이고, 종합기술원 차원에서 선행연구를 진행 중이다. 심 전무는 온 디바이서 AI를 개발하게 된 이유로 △프라이버시 △반응속도 △네트워크 연결을 들었다.

심 전무는 "컴퓨터가 사람처럼 일하려면 우리가 듣고 보는 모든 것을 클라우드에 보내야 하는데, 그럴 경우 프라이버시에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며 "또 반응 속도 차원에서도 5G 이동통신이 도래하더라도 기기 자체에서 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사람이 어떤 물체를 인식하는데 150ms(ms는 1000분의 1초), 기기 자체에서 구현할 경우 100~200ms, 클라우드를 통해 처리하는 경우 500~1000ms가 걸린다.

그러면서 "미국에서는 뉴저지주 외곽만 가도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온 디바이스 AI가 필요하다"며 "배터리 소모 차원에서도 자체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SW) 기술 차원에서 알고리즘을 통한 학습도 임베디드(자체 탑재) 방식으로 이뤄지게 하는 것도 연구 중이다. 클라우드를 통해서는 저장돼 있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통해 학습을 쉽게 할 수 있으나, 디바이스에서는 이를 모두 탑재해야 하는 차이가 있다.

새로운 학습을 하는 부분에서도 사람은 자전거를 타다가 자동차 운전을 배워도 자전거 타는 법을 안 잊는다. 반면 딥러닝을 통한 학습은 앞에서 배웠던 것을 까먹는 캐태스트로픽 포게팅(catastrophic forgetting)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어려움이 남아 있다. 심 전무는 이에 캐태스트로픽 포게팅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온 디바이스 AI의 사용처로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등을 꼽고 있다. '갤럭시S8'은 이미 얼굴 인식 기술을 자체적으로 탑재했으며 현재 AI 서비스인 빅스비를 자체 탑재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심 전무는 "(빅스비의) 클라우드 버전은 거의 1GB에 이르는데 이를 그대로 스마트폰 올리면 D램을 다 잡아먹어 현재 187MB 수준으로 줄였으며 속도도 훨씬 빠르다"면서도 "하지만 실시간으로 이를 구현해보니 30GB 이상의 메모리 밴드폭(Bandwidth)가 필요해 이를 해결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경기도 수원 삼성전자 사옥 일대와 고속도로에서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차를 실험 중이다. 심 전무는 "자율주행 전 기술을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에서 개발하고 있다"며 "지도를 받아오는 것을 제외하고 100%를 온 디바이스에서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