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親기업 정책 훈풍에도 녹지 않은 전경련 '패싱'
정부 親기업 정책 훈풍에도 녹지 않은 전경련 '패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년 연속' 대통령 주재 신년회 초대 받지 못해
'국정농단세력' 낙인 찍은 정부 기조에 비판 제기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사진=서울파이낸스 DB)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문재인 정부의 친기업 정책 변화에도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패싱'은 여전했다. 전경련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통령이 주재하는 신년회에 초대받지 못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GS그룹 총수 자격으로도 초청받지 못했다.

허 회장은 전경련의 과거 위상 회복에 노력 중이다. 재계를 대변하는 고유의 역할부터 일자리 창출, 남북경협 등 현안에도 목소리를 냈다. 또 아시아의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보아오포럼 서울지역회의를 주관하며 재계 맏형의 건재함을 대내외에 알렸다.

당시 허 회장은 "한·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이 됐다. 경제협력으로 다져진 양국의 관계가 더욱 굳건해지기 바란다"고 당부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런 허 회장의 안간힘에도 정부와의 관계회복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한번 찍은 '국정농단세력·적폐세력' 낙인을 지우지 않는 한, 최소 현 정부에서만큼은 경제단체로서 존재 가치를 인정받기 쉽지 않을 것이란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 때문에 전경련이 과거 위상에 연연하기보다 경제단체로서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먼저 화해의 손짓을 보내지 않는 한 전경련의 위상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먼저 정부 관계 회복보다는 국민 신뢰를 먼저 얻어야 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의 전경련 패싱을 곱지 않게 보는 시선도 적지 않다. 국정농단의 책임을 전경련 조직 전체로 확대하는 것은 정부의 보복성 처신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전경련이 지난해 7월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한 남북경제교류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정몽규 HDC 산업개발 회장을 위원장으로 선임까지 했지만 정부는 평양에서 열린 제3차 남북정상회담 동행 명단에 올리지 않았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계와 상견례를 하면서도 전경련은 배제했다.

경제계 관계자는 "전경련의 직전 과오가 조직 전체 잘못은 아닌데도 전경련 자체를 무조건 인정하려 들지 않은 정부의 태도도 문제"라면서 "경제단체로서의 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정부가 소통의 창구를 열어 둘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병철 삼성 선대회장 주도로 창설된 전경련은 올해로 창립 58주년을 맞는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전까지 국내를 대표하는 경제단체였다. 전경련은 재계 맏형으로 정부의 기업 정책에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았다.

일례로 허 회장이 전경련 회장으로 취임하던 2011년 당시 박대환 기획재정부장관과 간담회 자리에서 "정부 정책 결정이 국가 장래를 걱정하는 순수하고 분명한 원칙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난했고 반값등록금 정책에는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하지만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삼성·현대·SK·LG 등 국내 4대그룹이 회원을 탈퇴하면서 그 위상이 크게 추락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