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5세 남성 경제활동 참가율 낮아져…사회문제 될 수도"-BOK이슈노트
"30~45세 남성 경제활동 참가율 낮아져…사회문제 될 수도"-BOK이슈노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무직·건설·제조업 일자리 축소 영향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가계의 주된 소득원인 30∼54세 남성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이 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 하락은 경제 전반의 활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까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한국은행 박용민 과장, 권기백 조사역, 이나영 조사역은 4일 BOK이슈노트 '경제 활동 참가율 변화에 대한 평가 :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을 중심으로'라는 보고서에서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다"며 1996년 95.9%에서 올해 1∼9월 93.1%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의 경제 활동 참가율 하락은 중숙련 비중이 줄어드는 일자리 양극화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직업을 고숙련(관리자, 전문가)과 중숙련(사무직, 기능원 및 장치·조립 종사자), 저숙련(서비스직, 판매직, 단순노무직)으로 분류할 때 핵심노동연령층 남성이 종사한 중숙련 일자리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중숙련 일자리 비중은 1994년 60.0%에서 지난해 55.5%로 쪼그라들었다. 2003년 이전까지는 공장 해외 이전 때문에 제조업·건설업 일자리 비중이 줄었고 2004년 이후 최근에는 생산과정의 전산화, 자동화 등으로 정형화된 업무를 수행하는 중숙련 일자리가 사라지는 추세다.

지난해부터 한국의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수)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의 경제 활동 참가율 하락이 더 큰 타격이 될 수 있어 우려를 모은다. 

노동 공급 여력 축소는 경제의 잠재 성장률을 깎아내리는 요인이다. 여기에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이 일하지 못하면 가계 소득이 줄고 가정이 해체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 번질 수도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첨단 분야 기술혁신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신산업 분야에 대한 직접훈련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