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빚 '1500兆조' 돌파...역대 최대치
국내 가계빚 '1500兆조' 돌파...역대 최대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분기·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은 축소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한국경제의 최대 뇌관 가계부채가 올해 3분기 1500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새로 썼다. 정부의 전 방위적 대출규제안에 증가세는 추줌한 모습이다. 다만 한국은행이 시장 예상대로 이달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기존 대출자의 이자부담이 빠르게 늘어나며 경기를 재차 압박할 수 있어 우려된다. 

한은이 21일 발표한 '2018년 3분기중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가계신용 잔액은 1514조4000억원으로, 한은이 집계를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통계로 가계 부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올해 3분기 중 가계신용 증가규모는 22조원이다. 이는 지난 2분기 증가규모(24조1000억원)에 비해 8.7% 감소한 것이며, 전년 동기(31조4000억원)에 견줘서도 29.9% 줄은 것이다. 가계대출 급증기(2015~2017년) 분기당 평균 증가액이 30조5000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는 평가다. 3분기 중 가계신용 증가율은 전년 대비 6.7%다. 2014년 4분기(6.5%) 이후 최저수준이며, 지난해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 둔화세 지속하며 과거 10년 평균 증가율 8.2%를 하회했다. 

하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빚 증가율이 높아 문제다. 앞서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 비율이 2018년 1분기 말 기준 160.1%(GDP 대비 84.1%)로 2016년 말 154.6%(81.8%)에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모두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특히 이달 말 기정사실화한 금리 인상을 앞두고 가계부채 누증은 더 치명적이라는 평가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가계 이자 상환 부담이 늘고, 이는 민간소비 위축, 가계 부채 부실을 더 심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 잔액은 1427조7000억원, 판매신용 잔액은 86조7000억원이다. 가계대출은 올해 2분기 대비 1.3%, 판매신용은 4.3% 늘었다. 올 1~3분기를 통틀어 가계신용 증가규모는 63조5000억원이다. 

3분기 중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18조5000억원으로 전분기(22조원)와 전년 동기(28조3000억원) 대비 모두 축소됐다. 전분기 대비 예금은행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으나 비은행취급기관 및 기타금융기관 등이 줄어들며 전체적인 감소세가 이뤄졌다.  

가계빚 증가를 이끌고 있는 주된 요인은 역시나 주택담보대출이다. 가계대출 예금취급기관 중 예금은행의 경우 집단대출 및 전세자금대출 증가 지속, 계절적 요인에 따라 주담대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증가폭(12조8000억원→14조2000억원)이 확대됐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3분기 중 전국 아파트입주물량(분기 평균)은 10만7000호로 2분기 9만7000호보다 증가했다. 주담대 증가 규모는 올해 3분기 8조6000억원으로 1분기(4조6000억원), 2분기(6조원) 대비 크게 늘었다. 가계대출 증가세 조절을 위해 정부와 금융당국이 대출 옥죄기에 들어간 가운데, 가계대출 규제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10월 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막차타기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통계에 포함되는 주담대는 통상 시중은행 등 예금은행과 새마을금고·저축은행 같은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을 통해 이뤄지는 경우다. 보험사 등 기타 금융기권에서도 주담대가 활성화 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주담대 증가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