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국내 가계빚 1493.2兆 '사상 최대'…1500조 돌파 초읽기
2분기 국내 가계빚 1493.2兆 '사상 최대'…1500조 돌파 초읽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증가폭은 7.6%… 6분기 연속 둔화세 지속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국내 가계 빚이 1493조원을 넘기며 또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의 전방위 대책으로 증가율은 다소 둔화했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 금융안정을 위협할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전세보증금과 개인사업자 포함 시 가계부채는 가처분소득의 253%인 2243조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지난 3월말 기준).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올해 6월말 가계신용은 1493조2000억원으로 전분기말(1468조2000억원) 대비 24조9000억원(1.7%) 증가했다. 가계신용 잔액 가운데 가계대출이 1409조9000억원(94.4%), 판매신용이 83조2000억원(5.6%)을 차지했다.  

가계신용 잔액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새로 썼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통계로 가계 부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분기별 가계신용 잔액 증가폭은 작년 2분기 28조8000억원, 3분기 31조4000억원, 4분기 31조6000억원으로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1분기에는 17조2000억원으로 증가폭이 10조원대로 내려 앉았지만 올 2분기 다시 20조원대로 되돌아간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올해 2분기 7.6%로 2015년 1분기(7.4%) 이후 최저수준이다. 2016년 4분기 이후 6분기 연속 둔화세가 지속된 것으로, 가계대출 급등기 이전 과거 10년(2005~2014년) 평균 증가율 8.2%를 하회했다. 이는 정부와 금융기관이 관리할 수 있는 수준 내에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014년 하반기 박근혜 정부의 주택 부양정책 영향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가계신용은 2016년 하반기 정부의 부동산 관리 정책이 본격화 하며 둔화하는 추세다. 정부는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올해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도입 등 각종 고강도 규제책을 내놓으며 가계부채 옥죄기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소득보다 빚 증가율이 높다. 한은이 최근 내놓은 분기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2015∼2017년 3∼5% 수준이다.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모두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특히 금융위기 수준의 고용재난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부채 누증은 더 치명적이라는 평가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가계 이자 상환 부담이 늘고, 이는 민간소비 위축, 가계 부채 부실을 더 심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2분기 중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22조7000억원으로, 전분기(17조1000억원)에 비해 확대됐으나 전년동기(26조9000억원)에 비해서는 축소됐다. 전분기 대비로는 예금은행을 중심으로 증가폭 확대됐다. 예금은행은 아파트 입주물량 확대, 계절적 요인 등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및 기타대출이 전분기 8조2000억원에서 올 2분기 12조8000억원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가계대출 증가 내용을 보면 전분기말 대비 예금은행은 12조8000억원(1.9%),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은 2조6000억원(0.8%), 기타금융기관 등은 7.3조원(1.8%) 각각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이 감소세를 유지했으나 기타대출 증가규모가 확대되면서 전분기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타 금융기관은 보험권이 확대됐으나 여신전문기관 등은 축소되면서 전체적인 증가폭 축소됐다"고 덧붙였다. 

2분기 중 판매신용 증가규모는 2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말 증가폭이 3000억원에 그쳤던 점을 고려하면 크게 뛴 것이다. 5월 연휴, 어린이날·어버이날 등 계절적 요인과 월드컵효과(6월) 등에 따른 소비 확대가 주된 요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