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둔화·경기침체 논란…힘빠진 7월 금리인상說
경제지표 둔화·경기침체 논란…힘빠진 7월 금리인상說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금통위, 6개월째 年 1.50% 동결…하반기 가능성↑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찍은 고용지표, 국내 경제수장들의 경기침체 논란, 아르헨티나 터키발(發) 신흥국 6월 위기설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국내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시장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인상 결정 이후 6개월째 금리 수준을 묶은 것이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8∼11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채권 관련 종사자 100명 가운데 93%가 '금리동결'을 점쳤다. 이달 초만해도 5월 금통위에서 인상 소수의견이 나타나고 7월 금리인상을 예견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최근 들어 서서히 기대감이 꺾이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고용시장의 상황이 너무 안 좋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가 3개월 연속 10만명대에 그치는 등 고용지표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고용창출이 큰 제조업과 도·소매업, 숙박·음식점 등에서 전반적으로 감소세가 나타났다. 

고용사정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자 지난해 3%대 성장세 회복에 대한 의구심이 고개를 들었다.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이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침체 초기 국면"이라고 주장한 것을 두고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 설전을 벌인 것도 경기 둔화세 논란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3월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2% 감소로 26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70.3%)은 전월 대비 1.8%p 하락하면서 2009년 3월(69.9%) 이후 가장 낮았다. 

경제지표 둔화와 경기침체 논란은 금리인상을 부담스럽게 하는 요소다.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지난 17일 임지원 신임 금융통와위원의 취임식에서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와 미·중 간 무역갈등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고 일부 취약 신흥국의 금융불안도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국내 고용상황도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걱정한 바 있다. 

앞서 한은은 올해 통화정책 시행을 위해 물가보다는 고용, 투자, 소비 등 주요 실물지표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물가는 물론 실물지표 모두 부진한 상황인 데다, 고용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그나마 회복되는 듯 했던 소비지표 역시 둔화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7월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을 서서히 낮추고 있다. 이번 금통위에서는 경기개선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관망세를 취하며 구체적인 판단은 7월 경제전망으로 이연시켜 하반기 인상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반영한 듯 최근 골드만삭스는 올해 금리인상 예상 횟수를 두 차례에서 한 차례로 줄이면서 다음 인상시기를 7월에서 10월로 수정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6월 북미 정상회담과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이벤트가 연이어 대기하고 있는 점도 통화당국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며 기존 '5월 소수의견→7월 금리인상'에서 '7월 소수의견→8월 금리인상'으로 일정을 조절한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7월 금리인상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허정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1일 통과된 3조8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중 고용노동부 소관 예산이 4000억원이고 이 총재가 고용부진 원인으로 지목했던 구조조정 지역에 특별예산이 편성된 점은 향후 고용개선 기대감을 형성하며 5월 소수의견 출회 가능성을 높인다"고 조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