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예상대로 1.50% 동결…'인상' 소수의견 촉각 (상보)
한은, 기준금리 예상대로 1.50% 동결…'인상' 소수의견 촉각 (상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악 고용·경기 논란·신흥국 위기설 등 대내외 불확실
한미금리차 기존 0.25%p에서 오는 6월 0.5%p로 확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연 1.50%) 동결을 택했다.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25bp(1bp=0.01%) 상향시킨 이후 6개월째 관망세를 유지했다.

여전히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물가 상승률에 더해 터키, 이탈리아발(發) 신흥국 위기설,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고용지표, 국내 경제수장들의 경기진단 논란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된 것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다만 본격적인 한미 금리차 확대로 자본유출 우려가 커진 점을 고려하면 금리인상 '적기'에 대한 고민이 더 깊어지는 형국이다. 이날 발표될 소수의견 여부와 국내외 경제동향이 통화정책 변경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은 금통위는 24일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동결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인상 결정 이후 6개월째 금리 수준을 묶은 것이다. 이로써 연 1.50%의 기준금리는 다음 금통위가 개최되는 7월 12일까지 유지된다. 

금통위가 이달에도 금리동결을 지속한 것은 대내외 리스크가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임지원 신임 금통위원 취임식에서 "대내외 여건이 만만치 않아서 앞으로 경제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언급하며 금리인상 기대감을 누그러 뜨렸다.

또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와 미중 무역갈등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고 일부 취약 신흥국 금융불안이 어떻게 진행될 지 우려된다"며 "국내 고용상황도 좀처럼 개선되지 못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보통 금통위 일주일 전에는 통화정책과 관련된 발언을 하지 않는 '묵언기간'인데도 이 총재가 먼저 메시지를 던지자 시장은 금리인상 지연 가능성을 빠르게 받아들였다. 이 총재가 "물가보다 소비, 고용, 투자 등 실물지표를 더 신경 쓰고 있다"고 발언한 것도 이같은 분석에 힘을 더했다.

특히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3개월째 10만명대에 머물면서 최악의 고용쇼크가 발생한 것도 금통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석 달 연속 취업자 증가 폭이 10만명대를 유지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제조업의 경우 지난해 6월부터 10개월 연속 취업자 수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달 구조조정 여파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물가와 경기 모두 금통위가 금리인상에 자신감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고용 사정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자 지난해 3%대 성장세 회복에 대한 확신이 떨어지고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해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최근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 총재 등 우리 경제정책을 이끄는 수장들이 경기 진단에 대한 다른 인식을 내놓은 것이 그 방증이다.

물가 상승세도 여전히 시원찮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6%로 전월보다 0.3%p 상승하며 한은의 목표치(2%)를 하회했다. 

대외 상황도 긴장감이 팽팽하다. 아르헨티나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이후 터키, 인도네시아 등 일부 신흥국이 휘청이며 신흥국 위기설이 점점 고조되는 분위기다.

서부텍사스산 원유, 브렌트유, 두바이유 등 3대 국제유가는 이달 9일부터 모두 배럴당 70달러대에 진입했다. 브렌트유는 한 때 80달러를 넘는 등 들썩이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은 미 물가 상승률 확대를 초래하고 결국 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외국계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가 우리경제에 대한 어두운 전망을 속속 내놓고 있어 경계감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골드만삭스는 17개 신흥국 중 한국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부터 가장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된 가운데 미 연준이 6월 금리를 인상하게 될 경우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는 기존 0.25%p에서 0.5%p로 확대된다. 

금리동결 자체는 이미 예상된 만큼 이제 관심은 이날 오전 11시20분 개최되는 이 총재의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될 소수의견 여부에 쏠려있다. 5월 소수의견→7월 금리 인상 기대감이 아직 시장에 깔려 있지만 금리 급등에 따른 우려를 반영하듯 연내 인상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상존한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