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최대 금융리스크 역시나 '가계부채'…北 문제는 제외
韓 최대 금융리스크 역시나 '가계부채'…北 문제는 제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美 금리인상·부동산시장 불확실성도 경계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남북 정상회담 잇단 성사로 北 리스크 제외
국내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는 하락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지난해 1450조원을 넘긴 가계부채가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 미국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도 주요 위험요인으로 평가됐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26%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누증을 지목했다. 이어 17%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을, 15%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를 꼽았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을 1순위 위험요인으로 선택한 응답자도 11%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6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와 금융·경제관련 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및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들이 각각 지적한 5개 주요 위험요인을 순위에 관계없이 단순집계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 누증,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이 76%로 가장 높았고, 가계부채 누증(74%), 미국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0%) 등 순을 나타냈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지난해 11월 하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가계부채 누증(87%→74%)이 여전히 높은 응답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26%→76%)에 대한 응답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75% →60%),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6%→50%)에 대한 경계감은 하락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82%→38%)에 대한 응답 비율이 크게 하락하며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됐다. 항상 상위를 차지하던 북한 리스크가 제외된 이유는 조사 기간에 진행된 4·27 남북 정상회담 등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년 이내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기 리스크로는 미국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지목됐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역시 단기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지만 두 요인 모두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아울러 가계부채 누증 문제는 1~3년 중기 위험요인으로 인식됐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조사됐다. 미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갖는 리스크로 분류됐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국내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낮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 '높다'는 응답이 36%, '낮다'는 응답이 11%를 각각 기록했다. 직전 조사인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높다'는 응답비율(47%→36%)이 하락한 반면 '낮다'는 응답비율(4%→11%)은 상승했다.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응답비율(56%)이 '높다'는 응답(9%)을 크게 상회했다. 반면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다'는 응답(38%)이 '낮다'는 응답(20%)보다 높았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