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硏 "가계부채로 인한 '소비절벽' 가능성 낮아"
한경硏 "가계부채로 인한 '소비절벽' 가능성 낮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득·소비·저축 변화 분석···부채 증가는 자산증식 효과가 더 커

[서울파이낸스 손지혜 기자]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급격한 소비 위축의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3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은퇴 전후 고령 세대의 자산·부채로 살펴본 한국 소비절벽 실현 가능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가계부채 때문에 소비절벽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분석 결과는 부채 보유 여부나 규모가 직접적으로 소비를 위축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 기반, 은퇴를 앞둔 55세 이상 가구주가 속한 가구의 2001~2015년 소득·소비·저축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은 2001년보다 2015년 94.51% 늘었고, 같은 기간 저축도 78.32% 증가했다.

거주 주택자산과 거주 외 주택자산, 금융자산 증가율은 각각 157.35%, 126.44%, 98.3%로 집계됐다. 부채는 같은 기간 133.98% 늘었다.

한경연은 "같은 기간 저축이 78.32% 상승한 것으로 보아 결국 소득 증가분이 자산 축적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부채 상환금액 자체는 2001년보다 2015년에 늘었지만, 금융위기 이전과 현재의 상환액 수준에 큰 차이가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원일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부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상환에 대한 크기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은 현재 가구가 부채의 증가를 통한 자산 증식을 도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레버리지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나아가 그는 "실제 부채 보유 가구의 비중도 크지 않기 때문에, 가계부채의 총량적 이슈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 인상의 영향에 대해서도 그는 "상환액이 과도하게 많지 않고 오히려 부채가 증가할수록 자산도 확대되는 만큼 금리 인상이 급격한 소비 위축을 가져올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연은 은퇴 자체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키지 않는다는 분석도 제시했다.

가구주의 연령이 은퇴를 앞둔 55세 이상인 가구의 2011~2015년 소득·소비구조를 분석한 결과, 은퇴가 소비 자체를 줄이기보다는 소비지출 패턴의 변화를 야기한다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한경연은 "자산 효과 덕에 은퇴 이후 자산규모도 커지고 은퇴 전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자녀교육과 노후 대비 연금·보험 지출이 줄고 여가생활과 건강관리 분야로 소비가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