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알아보고 문열어 준다…AI·IoT 접목 도어락 특허출원 급증
주인 알아보고 문열어 준다…AI·IoT 접목 도어락 특허출원 급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4년 이후 두자릿수 증가…특허청 "방범체계 혁신 기대"

집이 주인을 알아보고 스스로 문을 열어주는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을 타고 확산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에 사물 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돼 실현된 것으로, 앞으로 방범체계 혁신을 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20일 특허청에 따르면 IoT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도어락 출원은 2009년부터 5년간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가 2014년 27건, 2015년 48건이 출원되는 등 매년 두자릿수로 급증했다.

IoT 기술 접목은 스마트폰 등장에 따라 본격화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도어락을 여닫을 수 있게 했으며, 이후 AI 디지털 도어락 기술의 발전을 견인했다.

AI 디지털 도어락 관련 발명은 2003년에 국내 최초로 출원된 이후 2013년까지 모두 8건에 불과했지만 2014년에만 7건이 출원되는 등 급증세다.

2014년을 기점으로 IoT·AI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도어락 출원이 증가한 것은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른 현상으로,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이런 흐름 가운데 IoT 관련 디지털 도어락 출원이 전체 디지털 도어락 출원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디지털 도어락에는 손잡이, 키패드, 회로기판 등이 포함되는데 초창기에 RF카드, 지문인식, 안면인식과 같은 암호 코드 기술 출원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런 기술은 사전등록이 필수적인 관계로 불특정 다수에 대한 선별적 출입허용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AI가 접목됐는데, 이는 사전등록 없이는 남자와 여자, 어른과 어린이를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했던 기존 안면인식 기술의 약점을 극복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여자 공중 화장실에는 여자만 출입을 허용하고, 옥상 출입문은 어른만 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조만간 일상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디지털 도어락이 IoT화하면서 AI이나 대화형 스피커 등과의 결합도 가능하게 됐다.

이를 통해 거실이나 주방에서 현관까지 나가지 않고도 말로만 문을 열 수 있는 시대가 열렸고, 사용자는 생활 속에서 더 편리함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정 특허청 주거생활심사과장은 "IoT, AI 등을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을 계기로 디지털 도어락 분야도 지능형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IoT, AI 디지털 도어락 관련 특허출원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