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의 명과 암 (上)] 스타트업의 든든한 후원자 "유지해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명과 암 (上)] 스타트업의 든든한 후원자 "유지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창조경제 정책의 일환이었던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이 사실상 대기업들에 압력을 가해 이뤄졌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존폐론에 휩싸였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많은 스타트업이 안정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희망의 사다리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과 이미 실패한 창조경제를 내걸고 센터를 운영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이 팽팽하다. 이에 본지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명과 암을 2회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와 2016년 12월 첫 인연을 맺게 된 IT전문업체 오퍼스원은 경기혁신센터와 KT의 다각적인 지원으로 스웨덴 UIC(웁살라 혁신센터)에서 진행된 스웨덴 미트업(Sweden Meetup) 프로그램을 통해 100년 전통의 ‘달라나스 파라프리파브릭’(Dalarnas Paraplyfabrik AB)을 만나 스위스, 스웨덴 등 북유 럽국가들와 수출 협의를 시작으로 스페인, 홍콩 등의 국가들의 유통사들과 판매계약을 체결하는 등 눈부신 성과를 내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처럼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기업은 스타트업들에게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영노하우와 기술력 등을 전수하고 해외영업판로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이 안정적인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전문기술력은 가지고 있으나 경영자금이 부족하거나 수출판로의 개척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생기업들에게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기업은 적자생존의 야생과 같은 국내기업 현실에서 희망의 사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전국 19곳 권역별로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에 센터가 구축돼 운영 중이다. 그중 포항과 나주를 제외한 15군데 지역의 센터는 정부와 지차체가 편성한 예산과 기업이 출자한 기부금으로 센터가 운영 중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기업과 연계해 창업벤처와 중소기업 육성, 지역 특화 사업기반의 창업과 신산업 창출 등을 지원해 스타트업 기업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한다.

대표적으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해외법인을 설립한 스타트업 기업은 17개에 달하고 해외 수출기업은 7개, 수출 규모도 691억 달러에 육박한다. 여기에 매출증대와 일자리 창출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다. 경기센터가 개소한 2015년 3월부터 2017년 3월 말까지 매출액은 492억원에 이르고 신규채용인원도 616명에 달한다.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주요성과 표 (자료=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창조경제혁신센터에는 스타트업 육성 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위치한 지역의 육성산업과 이를 주력으로 하는 대기업을 매칭시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지역발전을 이루는 강점이 있다.

한 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는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영노하우를 스타트업에게 전수하고  대기업의 기금 등을 통해 안정적인 기업 운영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혁신센터의 큰 강점이다"며 "대기업의 주력사업과 지역의 육성산업을 잘 매칭시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낼 수 있어 지역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기영 오퍼스원 대표도 "오퍼스원의 성과들은 이제 1년8개월 된 회사가 혼자 이뤄낼 수 없는 성과들로 과거도 그랬고 향후 일정시간은 센터의 지원이 절실하다"면서 "정치나 정권의 이슈로 스타트업 기업들을 위해 잘 조성되고 있는 인프라들이 사장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희망을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