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유럽, NB-IoT 주도권 각축전
우리나라·유럽, NB-IoT 주도권 각축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국내외 IoT 시장 규모 (자료=한국투자증권)

유럽, 빠르게 서비스 출시 나서…시장 확대 경쟁
국내, 주도권 확보발판 마련…요금인하 주장 걸림돌

[서울파이낸스 이호정기자] 유럽 이동통신사들이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서비스를 확대하고 나서며, 세계 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NB-IoT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인위적 요금 인하 같은 포퓰리즘에 얽매이지 않아야 하고 통신업계도 자체적으로 과감한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보다폰은 지난달 말 스페인 6개 주요도시에서 NB-IoT 네트워크를 공개했다. 보다폰은 8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기존 4G 기지국을 업그레이드한 이후 지난 2월 마드리드와 발렌시아에서 네트워크를 출시한 데 이어 바르셀로나, 서블, 빌바오, 말라가 등지로 확대했다. 3월 말까지 NB-IoT 네트워크가 1000개 이상의 기지국으로 확대돼 최대 1억대 이상의 사물인터넷(IoT)장치에 연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다폰의 NB-IoT는 가스 및 수도 계량기뿐 아니라 스마트 쓰레기통과 화재경보기, 주차요금 징수기 등 다양한 센서들을 연결, 사용하고 있다. 보다폰은 여행캐리어 브랜드 샘소나이트와 NB-IoT 기술을 기반으로 수화물을 관리 및 추적하는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

프랑스 오렌지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LTE 기반 IoT 기술인 LTE-M을 채택한다고 발표, 당초 지난해 추진하기로 한 로라망 구축 계획을 연기했다.

오렌지는 혁신연구센터 '오렌지 가든'에 IoT연구소를 설립하고 IoT 기기 시제품과 LTE-M 호환센서를 제작 및 테스트할 계획이다. IoT 시장 확대와 서비스 향상에 도움이 되는 그 모든 것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 오렌지는 경쟁관계에 있는 IoT 기술표준인 NB-IoT 역시 완전히 배제하지 않고 있다.

도이치텔레콤도 올 연말까지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등 유럽 8개국에NB-IoT 네트워크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도이치텔레콤은 이미 독일에서 대형 고객사들과 스마트 미터링과 스마트 파킹, 자산추적 분야에서 시범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오는 2분기에는 독일에서 NB-IoT 네트워크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미래부가 NB-IoT 전파 검증을 완료하고 기술 기준을 확정, 세계 최초로 NB-IoT 상용화를 위한 제도 근거를 마련한 데 이어 LG유플러스와 KT가 세계 최초 타이틀을 확보하기 위해 이르면 4월 세계 최초로 NB-IoT 상용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글로벌 통신·장비사와 산업용 사물인터넷(IoT)에 최적화된 '협대역IoT(NB IoT) 포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칩셋과 모듈 10만개를 무료로 배포해 생태계 확산에 나서고 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기존 기지국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SW) 채널 카드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준비하고 있다. KT도 이미 구축한 최신 기지국에는 SW 업그레이드를 적용하며 1.8㎓ LTE 기지국을 NB-IoT를 지원하는 최신 장비로 교체 중이다. SK텔레콤은 시장 상황에 따라 로라와 NB-IoT를 '하이브리드'로 활용하는 방법을 구상중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세계 IoT시장은 2020년 825조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며 국내시장도 2020년 13조70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산업연구원도 오는 2020년까지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 성장률이 연평균 29.2%로 세계 시장 성장률 21.8%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체제와 맞물려 대표적인 포퓰리즘 공약인 가계통신비 인하가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통신업계의 건전한 경쟁은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지만 정부의 인위적인 규제는 오히려 시장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NB-IoT 시장은 이제 막 출발하는 신기술이다. 시장을 잡기 위한 이통사들의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국민의 살림살이를 걱정한다는 핑계로 이제 막 시작되는 시장을 가격인하라는 명목으로 발목을 잡는다면 다음 단계로의 발전이 없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