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삼성重 "대우조선과 다른 처지 같은 잣대" 불만
현대·삼성重 "대우조선과 다른 처지 같은 잣대" 불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대우조선해양 서울 당산동 사옥.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황준익기자] 국내 조선 빅3가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안을 속속 제출하면서 구조조정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하지만 조단위의 국민 세금이 투입되고도 경영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과 자체적으로 구조조정에 돌입해 흑자 전환을 이끌어낸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이 같은 잣대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것을 놓고 업계에서 지적이 일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지난 17일 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자구안을 제출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자구안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고 밝혔지만 인력 감축, 비핵심 자산 매각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2년간 약 1500명의 인력을 내보낸 만큼 이번에도 인력 감축 규모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중공업 역시 지난 12일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에 자구안을 제출했다. 앞서 현대중공업은 이달 초 과장급 이상 간부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또 수주 부진이 장기화 될 경우에 대비해 선박건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도크부터 순차적으로 잠정 가동 중단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상가, 휴양시설 등 비핵심 자산에 대한 매각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대우조선은 채권단의 요구에 따라 스트레스 테스트가 마무리되는 이달 말 추가 자구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지난달 정부가 구조조정 칼을 뽑은 이후 조선 빅3를 겨누고 있지만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심기는 불편한 모습이다. 정부와 주채권은행 등이 대우조선과 같은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

올해 1분기 현대중공업은 3252억원, 삼성중공업은 6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지만, 대우조선은 263억원의 적자를 냈다.

부채비율 역시 대우조선의 경우 지난해 기준 약 7300%에 달한다. 반면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각각 140%, 300% 수준이다.

▲ 지난 3월 열린 대우조선해양 기자간담회에서 정성립 사장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 이자리에서 "희망의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며 "올해 1분기 흑자를 자신한다"고 말했지만, 실제 적자를 이어갔다. (사진=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은 정부 관리 하에 있는 산업은행의 자회사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지난해 말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세웠고, 현재 3조2000억원(산업은행 2조1000억원, 수출입은행 1조1000억원)이 지원됐다.

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은 산업은행에서 낙하산 인사가 관행처럼 이어지고 있다"며 "전임 사장들은 대규모 적자에도 이를 숨기고 수십억원의 퇴직금을 받아가는 등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대우조선은 사실상 주인이 정부이기 때문에 책임지는 사람이 없어 부실을 더 키운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조선 빅3가 지난해 8조원 규모의 적자 중 약 5조5000원이 대우조선이 냈다. 올해 1분기에는 대우조선만 유일하게 적자를 이어갔다.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은 지난달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0분기 만에 흑자를 내지 않았느냐"며 "대우조선과 달리 정부 돈 한 푼 받은 적 없는 우리는 (우리의) 스케줄대로 간다"고 말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은 자체적으로 인력을 줄이고 자산도 매각하는 등의 구조조정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며 "국민 세금이 투입되고 확실한 오너가 없는 대우조선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은 지난해 기준 1만3000여명의 직영 인력을 2019년까지 1만명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