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기고] 자율주행차, 상용화보다 '안전 시스템' 구축
[전문가기고] 자율주행차, 상용화보다 '안전 시스템' 구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율주행차'가 화제다. 자동운전을 위한 모든 기술이 집약되다보니 업계의 먹거리가 자율주행차로 쏠리고, 글로벌 메이커는 물론 IT 등을 대표하는 모든 기업이 자율주행차로 몰리고 있다.

센서와 카메라, 디스플레이, 주변을 인지하는 라이다 기술, 차량용 주문형 반도체와 이를 구동시키는 알고리즘 등 고부가가치를 가진 부품들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이제 세계적인 모터쇼와 전시회에서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은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다. 자율주행차가 지난 130여년의 자동차 역사의 흐름을 완전히 바꾸는 대사건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향후 활성화에 따라 운전이라는 직업과 택배, 운송 등 다양한 산업은 물론 일상생활 자체를 전환시키는 폭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금의 휴대폰을 구동시키는 알고리즘은 우리의 신경망을 지배하는 요소인 만큼 물밑 싸움이 치열하다고 할 수 있다.

글로벌 메이커들이 자율주행차 개발에 매달리는 이유는 자동차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첨단장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경쟁차종과 차별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선택폭을 높이면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판매 증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정점이 큰 덕분이다.

역시 가장 앞서있는 대표 명사는 구글카로 대표하는 차종이다. 이미 내년 정도에는 시속 30~40Km 정도로 실버타운이나 관광지역 등에서 운행하는 자율주행차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IT기술 수준이 높은 우리나라도 뒤지지 않기 위해 노력 중이나 선진국 수준대비 약 83% 수준, 3~4년 정도 뒤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는 우리가 미래의 먹거리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자율주행차는 최근 한계점이 많이 노출되면서 회의적인 부분도 많이 제기되고 있다. 구글카가 얼마 전 미국 LA에서 버스와 추돌하면서 접촉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특히 책임이 자율주행차로 판명나면서 과연 자동차를 믿고 운전할 수 있느냐에 대한 논란도 제기됐다. 법적 제도적 한계와 책임소재, 자율주행차의 판단능력을 믿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 둘이 아니다. 자율주행차를 운전할 수 있는 환경 인프라와 제도적 조건은 고사하고 자율주행차 자체도 보완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는 탓이다.

자율주행차는 중요한 교통상황에서 판단능력이 아직은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운전이라는 것은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성, 판단능력과 인지능력은 물론 순간적인 윤리적 판단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해 현명하고 냉정하게 판단해야한다.

그러나 자율주행차는 차량 탑승객의 안전과 수십 명의 보행자가 겹치는 극한 상황일 경우 누구의 생명이 우선이냐는 윤리적인 판단에 대해서는 전혀 판단이 불가능하다. 자동차 같이 복잡하고 세분화된 감각이 요구되는 자율주행은 목숨을 담보로 하는 만큼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자동차 급발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차의 해킹이나 오류 프로그램 작동은 더욱 심각한 사회적 후유증을 나타낼 수 있다. 때문에 자율주행차 상용화와 사물인터넷으로 가는 과정은 인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과정일 수 있으나 확실하고도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먼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