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체감성장률 '마이너스'…40대 자영업자 체감고통 가장 커
국민 체감성장률 '마이너스'…40대 자영업자 체감고통 가장 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료=현대경제연구원

현대경제硏, GDP 성장률보다 2.4%p 낮은 -0.2%…실업률도 정부통계 보다 훨씬 높아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우리 경제성장률 수치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는 마이너스 수준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체감경제고통지수와 체감실업률 역시 정부 통계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체감하는 경제적 고통이 가장 큰 세대는 40대 중소득층 자영업자로 나타났다.

22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5년 3분기 체감경기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9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806명을 대상으로 표본조사한 결과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제성장률은 -0.2%로 올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2.2%)을 2.4%p나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로 보면 30대와 40대가 체감하는 경제성장률이 -0.3%로 가장 낮았다. 50대는 -0.2%, 20대는 -0.1%로 체감했고, 60대 이상은 0.0% 수준으로 전 세대가 성장률이 정체하거나 후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소득수준 별로 보면 월평균 가구소득 300~499만원 대인 중소득층이 체감하는 경제성장률이 -0.4%로 평균을 하회했고, 저소득층(299만원 이하)은 -0.2%로 평균 수준을 기록했다. 월평균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이 체감하는 성장률은 -0.1%로 여타 가구보다는 높았지만 역시 마이너스 성장으로 인식했다.

특히 자영업자의 체감성장률은 -0.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정규직 임금근로자는 -0.3%, 비정규직은 -0.2% 수준으로 체감했다. 최근의 내수 침체로 자영업자 소득이 줄면서 체감 성장도 악화된 점이 반영됐다는 판단이다.

체감 실업률의 경우 15.2%로 집계됐다. 정부 공식 발표 실업률인 3.7%와 체감실업률 대체 지표로 사용되는 고용보조지표3(11.3%) 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은 20~40대 연령층의 체감 실업률이 15%를 상회했고, 50대와 60대 이상은 14.8% 수준으로 인식했다.

소득 기준으로 봐도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2.9% 증가하는 등 가계소득이 실제로 증가했지만, 응답자들의 체감소득 증가율은 -0.1%로 역시 괴리를 보였다.

은퇴연령층에 있는 50대와 60대의 체감 소득은 각각 -1.1%, -1.3%로 감소했고, 노동시장의 신규진입이 활발한 30대의 체감소득은 0.9% 증가했다. 20대는 0%, 40대는 -0.1%로 나타났다. 5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만이 체감소득이 0.5% 증가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은 모두 -0.4% 감소한 것으로 체감했다.

역시 자영업자의 체감소득은 -2.8%로 매우 낮게 조사됐고, 정규직 임금근로자와 비정규직은 각각 0.8%, 0.1%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기업 수익 악화에도 임금은 보전되고 있는 반면, 자영업자들이 체감하는 경기 위축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는 해석이다.

이를 종합한 우리 국민의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2p로 실적경제고통지수(8.5p)를 크게 웃돌았다. 연령별로는 40대(23.6p)가 가장높았고 이어 30대(22p), 50대(22.4p), 60대 이상(21p), 20대(20.4p) 순이었다.

소득수준 별로는 중산층이 23.3p로 가장 고통을 크게 느꼈고 저소득층은 22.5p, 고소득층은 20.6p 수준이었다. 종사자 지위 별로 보면 자영업자가 23.8p로 비정규직(21.9p), 정규직(21.4p)에 비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체감경제고통이 가장 큰 사람은 40대 중소득층 자영업자"라며 "고소득층을 제외한 중저소득층이 체감하는 소득증가율은 평균을 크게 하회하고 있어 중 저소득층의 소비심리가 위축돼 경제 활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월소득수준별 체감소득증가율 격차가 확대될 경우 소득계층별 소득격차 확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자영업자 소득 증대를 위해 비자발적·생계형 창업을 축소하는 한편, 재취업 일자리를 확대하고, 좋은 일자리 창출을 통해 가계소득을 늘려 소비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